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추천0 조회수 7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석등(石燈)은 돌로 만든 조명 시설로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을 점화시키는 부분인 화사석(火舍石)과 그것을 덮어주는 지붕‚ 그리고 지붕과 화사석을 지탱시켜 주는 대좌부(臺座部)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절이나 능묘와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석등은 빛을 밝혀 진리를 찾는다는 불교적 성격과 죽은 자의 명복을 구한다는 유교적 성격에 의해 조성되어 왔다. 불교적 성격의 석등은 건축의 한 부속으로서 옥외의 일정한 곳에 설치되어 종교 의식의 용구로 사용되어 왔다. 1918년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중흥산성쌍사자석등은 원래 전라남도 광양시의 중흥산성 성 안의 절터에 있던 것으로 삼층석탑과 함께 조성되었다. 이 석등의 주요 특징은 대좌부를 이루는 간주석(竿柱石) 부분이 원형이나 팔각형이 아니라 쌍사자로 대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두 마리의 사자가 지붕과 화사석을 받들고 있는 형태로 조성된‚ 이 석등은 속리산의 법주사 쌍사자 석등 및 경상남도 합천의 영암사지 석등과 함께 대표적인 이형(異型)석등으로 꼽힌다. 간주석을 사자상으로 변형시킨 것은 사자가 용맹한 동물이므로 불타의 진리 전파를 수호한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현존하는 쌍사자석등 중 가장 완벽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사실적인 조각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밖의 형태는 기본형인 팔각 석등을 따르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