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공고상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공고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음식을 얹어 나르거나 방에 놓고 식탁으로 사용하는 상(床)의 종류를 소반(小盤)이라고 한다. 조선시대 전통 가옥에서는 부엌과 식사를 하는 방의 거리가 멀었고‚ 그릇은 놋그릇이나 사기그릇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소반은 나르기 쉬우면서도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가볍고 튼튼한 나무로 만들엇다. 또한 한 사람이 하나의 상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용도나 천판(?板: 가구에서 가장 위의 면을 막아주며 마감하는 판)‚ 다리 모양‚ 용도‚ 지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소반이 전해진다. 공고상은 야외나 관청에서 식사를 할 때 음식을 머리에 이고 나르는 소반으로 번상(番床)이라고도 한다. 머리에 이고 나르기 편하도록 다른 소반에 비해 하단이 길게 제작되었고 이동할 때 앞을 내다보기 위해 커다란 창‚ 즉 개창(開窓)을 뚫고 옆면에는 손잡이 구멍을 만들었다. 이 공고상의 천판은 가장자리가 살짝 들린 접시형이고 다리 판은 일반적인 공고상처럼 밖으로 벌어진 모양이 아니라 8개의 판을 연결하여 직선에 가깝게 내렸다. 맞짜임으로 연결된 각 판각은 고춧잎 모양의 거멀장(여러 부재를 잇거나 벌어진 사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감아 쥐는 금속)이 견고하게 잡아 줄 뿐만 아니라 장식의 역할도 하고 있다. 앞을 내다보기 위한 개창이 비교적 아래쪽으로 작게 뚫린 것은 머리 위에 올리는 똬리 높이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