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생명의 색깔]朝雲暮雨(조운모우)..

추천0 조회수 81 다운로드 수 24 일반문의
  • [생명의 색깔]朝雲暮雨(조운모우).. 썸네일
저작물명
[생명의 색깔]朝雲暮雨(조운모우)..
저작(권)자
alge63 (저작물 37 건)
출처
한국저작권위원회
이용조건
CC BY-NC[저작권정보 표시-비영리]  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06-27 8:47
분류(장르)
사진
G905-9101003
요약정보
[푸른 아시아 실잠자리]_원본 학명: Ischnura senegalensis (Rambur,1842), Agrion senegalense Rambur, 1842 (최초 분류된 속명) 이명: Enallagma brevispina Selys,1876 과: 실잠자리과(Coenagrionidae) 속: 아시아실잠자리속(Ischnura Charpentier,1840) 크기: 32~36mm 출현시기: 5월~10월 분포지역: 중·남부 서식처: 연못, 하천 월동형태: 유충 산란형태: 식물조직 내 단독산란 잡목림이 우거진 지형의 연못과 습지에서는 관찰되는 개체수가 적고, 개방형 저지대 습지에서 7월경 초여름 오전에 많은 개체들이 짝짓기 등 생식활동을 활발히 한다. 수컷은 배 8마디 전체와 9마디 복부의 일부가 청색이며, 암컷은 미성숙일 때 가슴이 연한 주황색을 띤다. 성숙하면 녹색으로 변하는 이색형과 수컷과 같은 청색의 동색형이 있으며, 식물의 줄기 속에 단독산란을 한다. 형태적으로 북방아시아실잠자리와 매우 비슷하나 배 8마디 복부 일부의 청색무늬 유(북방아시아실잠자리), 무(푸른아시아실잠자리)로 구별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푸른아시아실잠자리 (한국의 잠자리 생태도감, 2007.5.12, 일공육사) 朝雲暮雨[조운모우]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비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로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했다한다.. 주말 등산하느라 인사가 늦었습니다. 많이 부족한 사진에 진사님들의 축하 메시지에 진심으로 감사드리오며 6월의 마지막날과 7월 한달 내내 건강하시고 즐겁고 활기찬 날 되시어요.. 제목을 생명의 색깔보다는 생명의 원초적 본능이나 신비로움으로 했으면 더 좋을듯한 느낌이 듭니다.. 香林 拜上 2014/06/30 [한반도 자연생태 사진공모전]
저작물 파일 유형
이미지저작물 해상도
6000 * 3376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파일명
[생명의 색깔]朝雲暮雨(조운모우)...jpg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