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생명의 색깔] 광대노린재의 유혹

추천0 조회수 134 다운로드 수 51 일반문의
  • [생명의 색깔] 광대노린재의 유혹 썸네일
저작물명
[생명의 색깔] 광대노린재의 유혹
저작(권)자
alge63 (저작물 37 건)
출처
한국저작권위원회
이용조건
CC BY-NC[저작권정보 표시-비영리]  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07-11 9:04
분류(장르)
사진
G905-9103128
요약정보
광대노린재 학명: Cantao ocellatus 계: 동물 문: 절지동물 강: 곤충류 목: 노린재목 과: 광대노린재과 멸종위기 등급: 평가불가 크기: 몸길이 19∼26mm 특징: 매우 화려하고 검은색 반점이 개체마다 변이가 심한 것이 특징 서식장소: 예덕나무의 줄기, 숲이나 들판의 수풀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타이완·동남아시아 (네이버 두산백과) 천연기념물, 위기의 동,식물.. 궁금하여 찾아 보았습니다. 기준이 뭔지를 국제?자연 보존 연맹(IUCN)의 기준을 1. 절멸(EX, Extinct)?- 개체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의 동물 2. 야생 절멸(EW, Extinct in the Wild):? 보호시설에서만 생존하고 있거나 원래의 서식지역이 아닌 곳에서만? 인위적으로 유입되어 생존하고 있는 상태의 등급. 3. 위급(CR, Critically Endangered): 야생에서 절멸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상태 4. 위기(EN, Endangered): 야생에서 절멸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 5. 취약(VU, Vulnerable): 야생에서 절멸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높음. 6. 준위협(NT, Near Threatened): 가까운 장래에 야생에서 멸종 우려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높음 7. 관심대상(LC, Least Concern): 위험이 낮고 위험 범주에 도달하지 않음 8. 자료부족(DD, Data Deficient): 멸종 위험에 관한 평가 자료 부족.? 9. 미평가(NE, Not Evaluated, NE): 아직 평가 작업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 등급을 구분하며, IUCN 적색목록에 대해 논할 때, 위급(CR), 위기(ER), 취약(VU)의 세 부류를 합해 멸종 우려(threatened)라고 한답니다. 우리나라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1,2급이 있다고 합니다. 위사진은 작년 평창 계방산 여행시 이승복생가에서 우리 아들 덕에 작업한 것으로 취미로 시작한 사진에 우리집 식구들도 많은 관심사가 생겨 나름 대화의 장이 되기도 하여 가끔 근처로 주말 나들이를 합니다.. [한반도 자연생태 사진공모전]
저작물 파일 유형
이미지저작물 해상도
6000 * 4000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파일명
[생명의 색깔] 광대노린재의 유혹.jpg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