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쇠물닭의 무한사랑

추천0 조회수 842 다운로드 수 115 일반문의
  • 쇠물닭의 무한사랑 썸네일
저작물명
쇠물닭의 무한사랑
저작(권)자
jhn386 (저작물 77 건)
출처
한국저작권위원회
이용조건
CC BY-NC[저작권정보 표시-비영리]  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08-18 6:20
분류(장르)
사진
G905-9108488
요약정보
지인들과 찾은 시읗 관곡지의 연지 풍경, 쇠물닭의 무한사랑을 느꼈습니다 받아 먹고나면 바로 사냥을 하고 새끼에게 잠라리 유충을 먹이는 장면 입니다 Gallinula chloropus 쇠물닭 문 척삭동물 /강 조류 /목 두루미목 /과 뜸부기과 /쇠물닭 몸길이 33cm이다. 이마에 달걀 모양의 붉은 판이 있다. 정수리와 뒷머리·뒷목은 푸른빛이 도는 짙은 회색이고 가슴과 배는 푸른빛이 도는 연한 회색이다. 아랫면의 가장자리는 연한 회색 또는 흰색이다. 옆구리 끝에는 흰색 세로무늬가 있다. 다리는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며 종아리에는 붉은 띠가 있다. 부리는 끝 부분의 노란색을 빼고는 붉다. 한국에서는 중부 이남에 번식하는 여름새이다. 땅 위에서는 꽁지를 많이 흔들면서 걷고 물에서는 머리를 흔들면서 헤엄을 치는데, 못이나 농경지·수로·물웅덩이, 하구나 하천 지류의 수초 지대에 산다. 물이 얕은 곳에서는 풀 줄기 사이를 숨어다니므로 잘 보이지 않지만 사방이 트인 넓은 곳에서는 잠수도 하면서 먹이를 찾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호숫가나 못가·저수지·하구 등 갈대·줄풀·마름·가시연꽃·큰고랭이·개연꽃 등의 수초가 우거진 곳에서 번식을 한다. 둥지는 마른 풀잎과 푸른 잎을 쌓아올려 만든다. 알을 낳는 시기는 5월 중순에서 8월 상순이며 한 둥지에 보통 5∼8개에서 많게는 12~15개까지 낳는데, 이는 둥지 하나에 여러 마리의 암컷이 알을 낳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은 암수 함께 품고 품는 기간은 19∼22일이다. 먹이는 식물의 씨앗이나 열매, 곤충·연체동물·갑각류·환형동물 등을 먹는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전 세계의 온대와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참조항목뜸부기, 뜸부기과, 물닭, 여름새 출처 : 두산백과 (노출보정 원본 입니다) [한반도 자연생태 사진공모전]
저작물 파일 유형
이미지저작물 정밀도
240DPI
이미지저작물 해상도
5616 * 3744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파일명
쇠물닭의 무한사랑.jpeg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