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찾아가는 미술관 2008」전남장흥 천관문학관展

추천0 조회수 230 다운로드 수 6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찾아가는 미술관 2008」전남장흥 천관문학관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8-07-25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국립현대미술관 「찾아가는 미술관 2008」‚ 전남 장흥 천관문학관展 『누군들 따뜻한 남쪽마을이 그립지 않으랴』 ? 한국문학 본향인 장흥의 역사와 문화‚ 인문지리적 특성을 주제로 한 전시 구성 ? 민정기‚ 김선두‚ 송필용‚ 조용식‚ 허진 등 43명 작가 신작 87점 전시 ? 8월 12일‚ 일반인 대상 ‘찾아가는 미술관 투어 프로그램’ 운영 국립현대미술관(관장 김윤수)은 오는 7월 30일부터 9월 30일까지 전남 장흥 소재 천관문학관에서 ‘찾아가는 미술관’ 사업의 일환으로 『누군들 따뜻한 남쪽마을이 그립지 않으랴』展을 개최한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장흥별곡문학동인회가 공동 기획한 본 전시는 장흥의 풍부한 인문지리적 자원과 현대미술을 접목시킨 독특한 시도로‚ 참여 작가 43명의 장흥을 소재로 한 신작 87점이 선보인다. <이미지> 송필용 ‘정남진의 달빛과 별빛’(상단 좌)‚ 김준권 ‘정남진기행’(상단 우) 김선두 ‘해변의 노래쟁이’(하단 좌)‚ 김상철 ‘장흥’(하단 우) 국립현대미술관 교육문화과 이승미 팀장은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상>이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을 세상에 나오게 했고 이 두 작품이 프랑스 혁명에 대한 시각을 역사적 사건으로서 뿐만 아니라 예술적으로 풍부하게 해주듯이‚ 미술을 단순한 시각예술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 배경을 가지고 바라보는 훈련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지역 단체와 국립현대미술관이 공동으로 지역 문화를 문화 콘텐츠로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전시의 지평을 열고 지방 미술관 및 문학관에 새로운 운영 모델을 제시해줄 수 있는 전시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조선시대 가사문학에서 현대문학에 이르기까지 문학의 본향인 장흥은 수많은 작가를 배출했을 뿐 아니라 소설과 영화의 배경이 되어온 곳이다. 지난 4월에는 국내 최초의 문학관광기행특구로 지정된 바 있다. 본 전시는 크게 5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주제인 ‘내 청춘도 날 버리고’에서는 문학 작품 속에 등장하는 청춘‚ 꿈‚ 첫사랑‚ 떠남과 만남‚ 고향과 유년시절의 그리움 등을 미술 작품으로 표현한다. 장흥은 이청준의 <눈길>‚ <서편제> 등의 작품을 통해 한국인에게 고향의 의미를 되새김질하는 곳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 코너에는 김선두‚ 김준권‚ 김종학‚ 조환‚ 이상선‚ 오상택‚ 김성수‚ 김지원‚ 유근택‚ 고완석 등이 참여하여‚ 붙잡을 수 없는 시간에 대한 그리움과 불멸에 대한 욕망을 형상화 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구두가 미리 알고 걸음을 멈추는 곳’에서는 수십 갈래 길을 따라 떠나간 사람들에 대한 형상화 작업이 선보인다. 관서별곡으로 기행문학과 가사문학의 원류가 된 장흥의 문화적 유산은 실경사생의 전통과 뿌리를 같이 한다. 우리가 사는 땅에 대해 기록하고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는 토대를 마련한 장흥은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마음을 상징한다. 오용길‚ 민정기‚ 여운‚ 조용식‚ 김천일‚ 권기윤‚ 이구용‚ 김보희‚ 문봉선‚ 신태수‚ 송필용‚ 위성웅 등이 참여한다. ‘어머니들의 어머니의 얼굴을 찾아서’에서는 장흥의 풍부한 자원과 어머니의 젖가슴과도 같은 정남진 바다와 뻘이 지닌 끝없는 생명력을 어머니와 연결시킨다. 더불어 필리핀‚ 베트남‚ 러시아‚ 몽골 등 세계 각지에서 바다를 건너온 어머니들의 희망을 이야기함으로써 장흥의 다문화가정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노순택‚ 김옥선‚ 정종미‚ 방정아‚ 김종경‚ 이승대 등이 참여한다. 동학 이후 한국 현대사의 이어지는 비극과 한을 기록하는 일은 이곳에서 태어난 문학인들에게는 의무와도 같은 것이었다.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에서는 한국사의 큰 획을 남긴 동학이 이후 장흥이 겪어야 했던 모진 역사를 표현한다. 본 주제에는 여운‚ 박.....나머지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mmc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