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아시아 큐비즘 : 경계없는 대화》 개최

추천0 조회수 16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아시아 큐비즘 : 경계없는 대화》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5-11-08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아시아 큐비즘 : 경계없는 대화』전 개최 (영 문) Cubism in Asia : Unbounded Dialogues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에서는 2005년 11월 11일부터 2006년 1월 30일까지 <아시아 큐비즘: 경계없는 대화 Cubism in Asia : Unbounded Dialogues>전을 개최한다. 덕수궁미술관에서 개최되는 올해 마지막 전시인 <아시아 큐비즘>전은 한국국립현대미술관‚ 일본국제교류기금‚ 도쿄국립근대미술관‚ 싱가포르국립미술관이 공동 기획하여 2년 3개월의 준비기간과 4차례의 공동 조사여행을 바탕으로 엄선된 아시아 국가들의 근대기 회화작품으로 꾸며진다. 일본‚ 싱가포르‚ 한국 등 아시아 3개국의 대표적인 국립미술관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해당 미술관을 순회하는 이번 전시는‚ 아시아 11개국의 75개 소장처로부터 76명 작가의 작품 113점을 대여해 한 자리에서 보여주는 대규모 `아시아 문화의 축제`라 할 수 있다(국가별 작품 수는 아래 전시 개요 참조). <아시아의 큐비즘>이라는 다소 낯선 이 주제는 서구의 경우 20세기 초 피카소와 브라크에서부터 시작되어 `미술의 혁명`으로 알려진 `큐비즘(입체주의)` 양식이 20세기를 관통하는 시기동안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에서 어떻게 알려지고 수용되었으며‚ 또한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더구나 식민지의 경험을 거친 후 이차대전 이후 독립한 아시아 대부분의 나라들에서‚ 한편으로는 독립된 자국의 미술 문화를 새롭게 창출하려는 욕구와 한편으로는 소위 `국제화`의 수준을 모방하고 발맞추어 가려는 욕구 사이에서 각국의 화가들은 어떠한 행로를 선택하였는지의 문제가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난다. 중국의 리화‚ 인도의 수자‚ 인도네시아의 아흐마드 사달리‚ 일본의 요로즈 테츠고로‚ 한국의 김흥수‚ 말레이시아의 아흐마드 자말‚ 필리핀의 마난살라‚ 싱가포르의 청수핑‚ 스리랑카의 조지 키트‚ 타이의 솜폿 우파인‚ 베트남의 타티 등 근대국가의 형성기 활약했던 각국의 주요 화가들이 대거 소개되는 한편‚ 전시는 이들 여러 국가들의 작품들이 뒤섞인 채 주제별로 분류되고 있어 작품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발견하는 재미를 더한다. 1950년대를 중심으로 아시아 문화 형성사의 일면을 미술작품이라는 구체적인 단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아시아`라는 화두가 그 중요성을 더해 가는 현 시점에서 그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전시와 더불어 출품작 및 논문 16편‚ 출품작가 76명의 자료‚ 색인 등이 수록된 도록이 발간되며‚ `아시아 20세기 미술` 전반을 주제로 한 국제 심포지엄 및 아시아 관련 영화 상영도 함께 마련된다. 입장료는 성인 3000원‚ 문의 T.02-2022-0600. <전시개요> ㅇ 전시제목 : 아시아 큐비즘 : 경계 없는 대화 ㅇ 기간/장소 : 2005.11.11-2006.1.30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 ㅇ 주 최 :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일본국제교류기금‚ 도쿄국립근대미술관‚ 싱가포르미술관 ㅇ 출품작가 및 작품 수 : 아시아 11개국 76명의 작가 작품 총 113점 - 중국 : 차오 쇼우‚ 치레이레이 등 10점 - 인도 : 람 쿠마르‚ 사바발라 등 9점 - 인도네시아 : 싯타르타 수지요‚ 아마드 사달리 등 12점 - 일본 : 요로즈 테츠고로‚ 츠루오카 마사오 등 22점 - 한국 : 김흥수‚ 하인두 등 15점 - 말레이시아 : 아마드 자말‚ 라티프 모히딘 등 7점 - 필리핀 : 마난살라‚ 앙 키우콕 등 17점 - 싱가포르 : 청수핑‚ 첸웬시 등 8점 - 스리랑카 : 조지 키트 3점 - 타이 : 솜폿 우파인‚ 푸아 하리피탁 등 9점 - 베트남 : 타티 1점 ㅇ 부대행사 : 국제 심포지엄 - 주 제 : 아시아 20세기 미술 - 일시/장소 : 2005. 11. 19 10:00-17:30 /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 발표자 : 인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싱가포르 학자 총 6명 (심포지엄 참가 안내 자세히 보기) * 첨부파일 : <아시아 큐비즘> 보도자료 ppt 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mmc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