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덕수궁미술관 개관 5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개최

추천0 조회수 125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덕수궁미술관 개관 5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3-08-2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대한제국기의 재조명 : 국가이미지 형성과 시각체계의 변화』 -------------------------------------------------------- - 덕수궁미술관 개관 5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 국립현대미술관(관장 吳光?)은 덕수궁미술관의 개관 5주년을 맞아 {대한제국기의 재조명 : 국가이미지 형성과 시각체계의 변화}를 주제로 2003년 9월 6일 학술발표회를 개최한다. □ 학술발표회 목적 □ 근대관련 전시를 위주로 근대미술관으로서의 인식을 심는데 주력해 온 덕수궁미술관은 개관 5주년을 계기로 근대미술관으로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학계와 미술계를 선도하는 전문 미술관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매년 학술발표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본 학술발표회는 근대미술을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시기에서 중심주제를 선별하는 방식이나 혹은 당해연도의 기획전시 중 미술사적으로 재정립을 요하는 전시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기획되어 그 첫 단추를 끼우는 역할을 할 이번 개관 5주년 기념 학술발표회는 근대미술의 기점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한제국시기의 시각체계의 변화상을 살펴보는 기회로 마련되였다. □ 대한제국기의 변화된 시각체계 □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 통치시기를 거치는 동안 대한제국에 대한 우리의 평가는 단순히 멸망한 나라 이상의 그 어떤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대원군과 민비 사이의 반목과 암투로 인해 고종의 치세기간(治世期間)을 시대의식이 결여된 시기로 인식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역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에 의해 이 시기에 대한 재조명과 평가가 이루어짐으로써 당시 사람들이 외세에 항거하기 위하여 보여준 많은 노력들과 그들의 행보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사학계의 경향에 발맞추어 미술사학계에서도 근대의 기점을 어디로 잡아야 하는가의 문제와 맞물려 대한제국기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와 같은 미술사학계의 행보에 발맞추어 덕수궁미술관에서 기획한 이번 학술발표회는 {대한제국기의 재조명 : 국가이미지 형성과 시각체계의 변화}라는 주제를 가지고 밀려오는 외세의 물결에 대응하여 우리의 국체와 정통성을 지켜내기 위해 이루어진 대한제국시기의 많은 노력들을 시각매체의 운용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왕의 나라에서 황제의 나라로 거듭나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시각이미지들을 건축‚ 공예‚ 사진 및 회화 등의 여러 장르에 걸쳐 근대미술사의 맥락 속에서 살피고자 한다. 건축의 경우 덕수궁(당시 경운궁)이 대한제국의 정궁으로서 기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이루어진 한성시가지 계획과 그 속에서 덕수궁의 위치를 살펴봄으로써 덕수궁이 우리 근대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재고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또한 대한제국기에 사용된 상징과 문양을 통해 황제의 나라라는 국체와 어울리는 국가이미지의 형성과정을 살피고‚ 무심코 지나쳤던 이미지들이 지녔던 상징성을 살피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더 나아가 새롭게 도입된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만들어진 황제 초상사진 조성의 이면사를 통해 그것이 갖는 사회사적 맥락을 짚어봄으로써‚ 당시 황제의 초상사진의 이미지가 담지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회화부분의 경우‚ 정확성을 자랑하는 사진이 전신사조(傳神寫照)를 중시하는 초상화부분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사진이 당시 화단에 미친 영향을 가늠해 본다. 더불어 고종시기 화원제도와 그 운영방식의 변화상을 통해 근대적 미술 체계 형성에 미친 영향과 이후 화단과의 연결고리를 개진해 보고자 한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대한제국시기 국가이미지 형성을 위해 사용된 건축‚ 공예‚ 사진‚ 회화 등의 시각매체의 운용방식을 통해 대한제국기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시기 이루어진 시각매체의 변화상이 근대화단 형성과 시각체계 변화의 근간이 됨을 밝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 정체성 세우기 작업을 문화예술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대한.....나머지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mmc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