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체계적인 안전관리로 국내농산물 안전성 대폭 향상

추천0 조회수 4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체계적인 안전관리로 국내농산물 안전성 대폭 향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15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김대근‚ 이하 농관원)은 지난해 국내 농산물 안전성조사 결과 부적합비율이 1.3%로(2010년 2.2% 대비 40.9%가 감소) 매년 안전성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국내농산물을 대상으로 생산단계와 유통·판매단계에서 286품목 91‚211건에 대한 안전성조사를 실시하여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부적합품 1‚209건은 현장에서 폐기‚ 출하연기 등으로 시중유통을 차단하였다. - 이중 유통·판매단계에서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부적합품 573건에 대해서는 생산현장 추적조사를 통해 시장출하를 방지하여 안전한 농산물이 유통되도록 하였으며‚ - 특히‚ 농산물 안전에 대한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하여 지역특화 및 주생산지 농산물에 대해 식약처‚ 각 시·도(시·군·구)와 협업으로 4‚027건에 대한 안전성조사를 실시하여 부적합 46건은 생산현장에서 출하를 차단하였다. 농산물 안전성조사는 국민건강을 고려하고 생산·소비량이 많은 54개 다소비 품목과 부적합비율이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취약시기에 집중관리하여 전반적인 안전성 수준은 매년 개선되고 있으나 산채류‚ 엽경채류 등 소면적 재배 작물의 부적합비율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잔류농약 조사결과 부적합 비율이 높은 주요 품목류는 생산단계는 산채류(7.0%)‚ 엽경채류(4.2%)순이며‚ 유통·판매단계에서도 산채류(3.5%)‚ 엽경채류(2.0%) 순이었다. * 부적합 상위 품목(%) : 파세리 12.8%‚ 부추 9.4%‚ 취나물 9.0%‚ 쑥갓 7.9%‚ 갓 6.6%‚ 셀러리 6.3%‚ 근대 5.4% 등 - 이들 부적합 품목의 대부분은 안전사용기준 미설정 농약을 사용하였으며 농약의 잔류량은 미미하나 불검출 수준의 엄격한 잔류허용기준이 적용되어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 안전사용기준 미설정 농약이 검출되면 해당 농산물 대분류군 또는 해당 농약 잔류기준 중에서 최저 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여 판정 2011년 일본 원전사고 이후 국민들의 방사능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매년 노지재배 채소류 중심으로 생산단계 농산물 방사능 안전성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14년에는 1‚707건을 수거하여 조사한 결과 모두 방사능 불검출로 판정되었다. * 연도별 조사실적 : (‘11년) 436건 → (’12) 1‚477 → (‘13) 1‚510 → (’14) 1‚707 또한‚ 폐광산 주변 등 중금속(납‚ 카드뮴) 오염 우려 지역 농산물 3‚726건에 대한 중금속조사를 실시하여‚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34건은 생산현장에서 모두 수거·폐기 조치하여 부적합품이 시중에 유통되지 않도록 하였다. 수출농가를 대상으로 수출국별 수출전 안전기준 맞춤형 안전성분석 및 컨설팅 4‚842건을 지원하여 수출국에 부적합한 957건에 대하여 수출보류 조치를 하여‚ 농가불편을 해소하고 수출농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유통 중인 국내산 쌀 2‚053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 안전성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어 국민의 주식인 쌀은 안전하게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관원은 올해에도 다소비 품목(54개)‚ 부적합비율이 높은 품목과 폐광산 중금속‚ 곰팡이독소‚ 항생제‚ 재배환경 등 소비자 우려분야 중심으로 89천 건에 대해 안전성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며‚ 유통환경 및 소비패턴의 변화에 맞추어 지역특화 및 로컬푸드 직거래 농산물‚ 수출농산물 등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식약처‚ 시·도 등 유관기관과 정보공유‚ 합동조사 등 협업을 확대하고 주식인 쌀의 안전성에 대한 대국민 신뢰 제고를 위해 ‘국산쌀 안전관리강화대책’에 따라 생산 인접지의 RPC‚ 정미소‚ 양곡상‚ 정부양곡도정공장 등을 대상으로 집중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소비자 관심이 많은 농산물에 대해서는 한국소비자원 등 소비자 단체와 잔류농약 등 유해물질 합동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 공개를 통해 소비자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시켜 나갈 계획이다. * 협약체결 : 한국소비자원(2004)‚ 소비자시민모임(2010) 농관원 김대근원장은 FTA 확대 등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대응하고 국내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제고하기 위하여 농산물 안전을 과학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도록 농약‚ 식중독균 등 유해물질 다성분 동시분석법 개발 등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 : (‘04) 115성분 → (‘06) 140 → (‘09) 179 → (‘11) 245 → (‘14.7) 320 국민 소통확대 및 소비 환경 변화에 신속 대응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정책을 추진하여 국민에게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