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중국 농식품 시장 공략을 위한 종합전략 보고서 나와

추천0 조회수 8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국 농식품 시장 공략을 위한 종합전략 보고서 나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26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2월 27일 우리 농식품의 중국 수출 확대전략 마련을 위해 「중국 인터넷 및 TV 홈쇼핑 업계현황」과 그간 aTKREI한국무역협회 등에서 발간한 중국시장 조사 자료를 집대성한 「중국 농식품시장 수출확대 전략보고서」를 농식품 수출업체에 제공했다고 밝혔다. 「중국 인터넷 및 TV홈쇼핑 업계현황」에서는 중국의 온라인TV홈쇼핑 시장 현황 분석 및 주요 기업 현황‚ 한국 농식품 진출 현황 등을 다루고 있다. (온라인) 중국 온라인 시장 규모는 1조 8‚500억 위안(‘13년)으로 특히 티엔마오(??)‚ 징동상청(京商)‚ 텅쉰() 등 B2C몰이 차지하는 비중이 35.1%이다. 인터넷 쇼핑의 주요 소비층은 20~29세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전체의 56.4%를 차지한다. - 특히 ‘식품분야’의 온라인 거래 금액은 324억 위안(‘13년)으로‚ 전년 동기대비 47.9%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가장 많이 판매되는 유형은 수입식품이며 전체 상품 주문의 13%를 차지한다. - 한국 식품 중 중국 인터넷 채널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은 주로 우유‚ 음료수 과자 등이며‚ 특히 알갱이가 씹히는 과즙음료는 건강에 더 좋을 것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V홈쇼핑) 중국 TV홈쇼핑 시장 판매 규모는 347억 위안(‘14년)으로 추정되며‚ ’18년에는 544억 위안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중국 전역에 방송 가능한 홈쇼핑 업체는 100여 곳에 이르는데‚ 후난(湖南)TV의 ‘즐거운 쇼핑(快物/Happigo‚ 시장 점유율 18.3%)’‚ 상하이 동방위성 TV의 ‘동방CJ(시장 점유율 17.8%)’‚ 쟝수(江)위성TV의 ‘하오샹(?享‚ 시장 점유율 13.5%)’ 등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중국 TV홈쇼핑 채널에서 판매되는 식품은 온라인 쇼핑에서 취급되는 제품보다는 비교적 단순하며‚ 주로 수입식품으로 이 중 한국 식품은 김‚ 과자‚ 유자차 및 음료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농식품시장 수출확대 전략보고서」는 ‘14년도 aTKREI무역협회농협경제연구소 등 유관기관에서 발간한 중국 시장 정보조사 자료를 집대성*하여 제작되었다. 주요 포함 자료 중국 농식품 통계편람(‘14.12‚ aT) 중국 수입제도 모니터링(‘14.12‚ aT) 중국 권역별 유망품목 및 진출전략(’14.4‚ aT/KOTRA) 중국 성별 내수용 수입특성과 시사점('14.5‚ aT) 중국 유기농 시장 현황(‘14.10‚ aT) 중국 식품 유통채널 심층분석(‘14.9‚ aT) 월간 중국농업 브리프(‘14.1~12 연간‚ KREI) Trade Brief(‘14.9‚ 한국무역협회) 최근 對中 한류수출 영향력 진단(‘14.9‚ 농협경제연구소) 글로벌푸드인포 중국편(‘14.8‚ aT) 본 보고서는 중국 권역별품목별 수출가능성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 (권역별) 중국은 특히 권역별로 다른 입맛과 식문화를 갖고 있어 진출 대상 지역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예컨대 베이징 등 화북권역은 시리얼‚ 유제품(바나나우유 등)‚ 견과류 등이 인기이며‚ 청두충칭을 중심으로 한 서부지역에서는 과자류‚ 초콜릿‚ 캔디‚ 차 등이 선호된다. - (품목별) 유자차의 경우 한국 브랜드가 중국 내에서 85%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월 수입 4‚000위안 이상의 소비자가 주로 구입하고 있다. 또한 인삼은 최근 제품 형태가 다양해져 홍삼 뿐만 아니라 미삼‚ 인삼분말‚ 인삼차‚ 인삼고‚ 인삼음료 등이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광둥성 및 푸젠성에서 한국 인삼의 인지도선호도가 높다. 농식품부 강혜영 수출진흥과장은 “올해는 중국 수출을 본격화하는 해로‚ 중국의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수출 유망 품목을 발굴하고 도시별품목별 수출전략을 마련하여 수출희망 농가와 업체에 제공할 계획이다.”라며‚ “그 첫 번째는 중국 북경‚ 상해‚ 청도 등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농식품 수출 정보조사 결과는 농수산식품 수출지원정보 홈페이지(www.kati.net)에서 e-book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