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농식품연구센터‚ 핵심기술 개발+전문인력 양성 두 마리 토끼 잡다

추천0 조회수 14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농식품연구센터‚ 핵심기술 개발+전문인력 양성 두 마리 토끼 잡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1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농산업의 신성장동력화를 촉진하기 위한 첨단 핵심기술 개발과 농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석박사급 연구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2010년부터 ‘농림축산식품연구센터(ARC: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지원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 본 사업은 일반 RD사업과는 달리 첨단 핵심기술 개발과 연구인력 양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특화 프로젝트’ 사업으로‚ ○ 10년 동안이라는 장기간 동안 대학은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핵심기술 개발과 연구인력 양성에 집중하고‚ 농산업체는 기술개발 협력과 동시에 대학에서 배출된 전문 연구인력을 채용하여 자체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모델을 정립한 것이 특징이다. ○ ’13년 기준 농업 관련 연구개발 인력은 국가 전체 연구인력 대비 2.5% 수준의 열악한 상황으로‚ 농산업 현장에서는 기술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 수급에 애로를 겪고 있다. ○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농산업 현장에서 연구개발 전문인력 지원이 시급한 분야를 선정하여‚ 2010년부터 ▲채소육종연구센터‚ ▲식품 안전성독성연구센터‚ ▲지능형 식품포장연구센터 등 3개 센터 지원을 시작으로‚ 2014년에는 ▲농업생산 무인자동화 연구센터‚ ▲천연물식의약소재개발 연구센터 2개 센터를 추가하여 2015년 현재 총 5개 센터를 지원하고 있다. □ 4년의 짧은 지원기간에도 불구하고‚ 2010년부터 지원 중인 3개 연구센터*에서는 첨단 핵심기술개발과 인력양성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 채소육종연구센터(센터장 : 서울대 강병철 교수)‚ 농식품안전성 및 독성연구센터(센터장 : 서울대 최상호 교수)‚ 지능형 농식품포장연구센터(센터장 : 동국대 이승주 교수) ○ 핵심기술 개발 측면에서 국가 RD 평균 대비‚ SCI 논문은 11배‚ 특허등록은 13배의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우수연구인력 양성 측면에서도 석박사급의 전문인력 양성 성과가 국가 평균 대비 4.4배 높게 나타났다. □ 사업단별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① 채소육종연구센터는 IMF 이후 국내 채소 육종산업이 다국적 기업으로 흡수통합됨에 따라 민간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적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10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 그 결과‚ SCI논문 62편‚ 특허등록 15건 등의 성과를 창출하였으며‚ 총 61명의 석박사급 채소육종 전문인력을 배출하였고 이중 41명이 농우바이오‚ 농협종묘‚ 동부팜한농 등 육종관련 회사에 취업하였다. ○ 이 과정에서‚ 수박 3품종‚ 고추 5품종‚ 배추 2품종을 새로 개발‚ 상용화되었고‚ 개발된 성과들은 농협종묘센터 및 네덜란드 KeyGene사 등에 기술이전되었다. ② 식품안전성독성 연구센터는 선진국 수준의 식품안전성 강화를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10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 그 결과‚ SCI논문 96편‚ 특허등록 26건‚ 기술이전 2건 등의 성과를 창출하였으며‚ 식품안전 전문교육을 받은 우수인력 66명 중 48명이 농진청‚ 식약처 등 국가기관‚ CJ‚ SPC 등 민간기업 연구소에 취업하였다. ○ 식품안전성독성 연구센터의 여러 우수성과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식품안전 위해인자 10종을 동정하고 특성을 규명한 것으로‚ 여름철 유행하는 주요 식중독균인 비브리오 패혈증 균의 생존과정을 규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였다. ③ 지능형 식품포장 연구센터는 안전한 식품 유통에 필수적인 식품포장기술 분야 기반을 구축을 위해 ‘10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 그 결과‚ SCI논문 80편‚ 특허등록 37건‚ 기술이전 1건의 성과를 창출하였으며‚ 136명의 석박사급 전문인력을 배출하였고 이 중 42명이 식품 대기업 및 연구소에 취업하였다. ○ 이 사업단에서 개발한 포장식품의 신선도와 유통기한을 알 수 있는 신개념의 스티커는 미래부 주관 201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도 선정되었다. □ 이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농식품부에서는 2018년까지 대학-농산업 현장간 연계와 학제간 융합 촉진을 위한 “농산업 연구개발 인력육성” 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 올해‚ “축산물 안전관리 연구센터“ 1개소 추가 선정을 시작으로‚ 2018년까지 9개소를 추가하는 등 총 15개소로 확대할 예정이며‚ ○ 신규 분야는 ①정책적 중요도‚ ②농산업 현장의 인력수요‚ ③해당분야 기술수준 등을 고려하되‚ 권역별‚ 대학별 지원이 편중되지 않도록 균형 지원할 계획이다. □ 농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장은 “첨단기술과 전문 연구인력은 농산업 미래 성장동력화라는 문을 열기 위한 핵심 열쇠로‚ 이 사업을 통해 새로운 산학협력 우수모델을 정립하고‚ 농식품분야 신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우수 인력양성을 추진하는 대표 브랜드 사업으로 육성할 것이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