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 국내 커피 시장 1조 6천억원‚ 5년간 92% 성장

추천0 조회수 10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 국내 커피 시장 1조 6천억원‚ 5년간 92% 성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16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재수)는 커피믹스(조제커피)에 대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생산 추이) 2013년 커피의 국내 생산량은 약 65만톤이며‚ 5년전에 비해 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산액은 약 1조 6천억원으로 약 92% 성장세를 나타냈다. ○ 2013년 커피믹스의 국내 생산량은 약 26만톤(전체 커피의 39.2%)‚ 생산액 기준으로는 8‚679억원(전체 커피의 52.5%)으로 5년전에 비해 약 54%‚ 1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다만‚ 전체 커피생산량에서 커피믹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한 때 56%(2006년)에 이르기도 하였으나‚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나 2013년 기준으로 39.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출입 추이) 커피믹스는 수입 보다는 수출 규모가 크며‚ 2000년 1‚621톤에서 2013년 1만 6‚865톤으로 수출량이 증가하였으며‚ 수출액도 454만 달러에서 8‚035만 달러로 약 17.7배(5년전에 비해서는 약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가별 수출액 추이) 커피믹스는 일본‚ 중국‚ 러시아가 주요 수출국으로 전체 수출 시장의 약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으로의 수출액은 2009년 74만달러에서 2013년 2‚073만달러로 약 28배가 급증하여 전체 수출액의 약 2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가별 수입액 추이) 커피믹스의 수입 규모는 크기 않으나‚ 대부분은 미국 제품(2013년 수출액 기준 81.1%)으로 나타났다. 미국 커피믹스의 수입 규모는 2009년 약 20만 달러였으나 2012년에 급증하며 2013년에는 약 150만달러의 규모를 나타내었다. □ (주요 원료 현황) 커피믹스를 포함한 커피류의 원료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원유가 2만 7천여톤(44.5%‚ 국내산 100%)으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백설탕 1만 8천여톤(29.8%)‚ 커피원두 1만 2천여톤(20.4%)로 나타났다. ○ 커피 원두는 대부분 카페인이 함유된 생두형태로 수입되고 있으며‚ 수입량은 5년전(2009년 9만 7천톤)에 비해 2013년 10만 7‚112톤으로 11%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수입액은 2억 340만 달러에서 3억 1‚177만 달러로 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커피 생두(카페인 함유)는 주로 베트남‚ 브라질‚ 콜롬비아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3개 국가가 전체 수입량의 64.7%(2013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 (유통판매구조) 커피믹스는 대부분 B2C 시장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2013년 커피믹스의 소매점 매출액은 약 1조 1‚665억원으로 할인점(41.2%)‚ 체인슈퍼(24.2%)‚ 독립슈퍼(20.1%)의 순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2년에 비해 2013년 커피믹스 매출액은 5.8% 감소하였으며‚ 2013년 3/4분기까지의 매출액 대비 2014년 같은 기간까지의 매출액도 약 9.7% 정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설탕이나 크림이 들어가지 않은 인스턴트 원두커피를 소비하는 비중이 늘고‚ 커피전문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소비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소비량 추이) 국가별 1인당 커피 소비량은 핀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등 주로 유럽 국가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소비량이 2008년 1인당 2.91kg에서 2011년 3.38kg으로 4년간 약 17%가 증가하여 다른 국가에 비해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커피믹스를 포함한 전체 커피 소비빈도도 소비량과 마찬가지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데‚ 2007년에는 1주일에 약 8회 정도 커피를 마셨었는데‚ 2013년에는 12.3회로 그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커피는 단일 음식 중에서 주당 소비빈도가 12.3회로 가장 높은 품목으로 나타났으며‚ 배추김치(11.8회)‚ 쌀밥(7회) 보다도 더 자주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국내시장 동향) 국내 커피믹스 시장은 그 규모는 다소 감소하고 있지만‚ 커피전문점 커피의 영향으로 맛의 다양화(카푸치노‚ 바닐라 라떼 등)‚ 형태의 다양화(컵 포장형 커피믹스 제품)‚ 원두 개선 제품(인스턴트 원두커피) 등으로 꾸준히 시장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해외시장 동향) 미국과 일본은 설탕이나 크림이 들어간 커피믹스 제품보다는 커피만 함유된 인스턴트 커피가 약 75.3%‚ 84%의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커피 가공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인 중국과 베트남은 크림설탕이 들어간 커피믹스 제품이 시장점유율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보고서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식품산업 통계정보 시스템’ (http://www.aTFIS.or.kr)에서 다운받아 볼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