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 만두시장 4천억원 규모‚ 5년간 2배 성장‚ 수출은 2.6배 증가‚ 할인점 판매가 절반 차지

추천0 조회수 15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 만두시장 4천억원 규모‚ 5년간 2배 성장‚ 수출은 2.6배 증가‚ 할인점 판매가 절반 차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2-3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재수)는 만두‚ 어묵에 대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이번 보고서는 개별 가공식품의 산업구조 변화 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입분석하여 품목별 시장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2010년부터 시작하여 이번 보고서까지 총 42개 품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10) 김치 등 8품목‚ (’11) 빙과 등 5품목‚ (‘12) 비스킷 등 12품목‚ (’13~) 17품목 [ 만두 ] □ (생산액 추이) 만두의 국내 생산실적은 다소 등락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생산량은 2003년 9.6만톤에서 2013년 약 15만 톤으로 61.5% 증가하였고‚ 생산액 기준으로는 2003년 1‚972억원에서 2013년 4‚042억원으로 105% 증가하였다. □ (수출입 추이) 수출액은 2000년 약 474만 달러에서 2013년 약 1‚954만 달러로 313%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수입액은 약 164만달러에서 약 891만달러로 4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출) 만두의 주요 원재료인 돼지고기 때문에 수출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라‚ 대부분 수출되는 만두는 채소만두로 나타났다. ○ (국가별 수출액 추이) 미국과 호주‚ 홍콩으로 수출되는 비중이 48.7%(2013년 수출액 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홍콩으로의 수출량과 수출액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자유무역구역인 홍콩의 경우 관세가 없을 뿐만 아닌라 관광객‚ 1인 가구 및 식품 구매 욕구가 증가하여 만두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수입) 만두는 크지 않은 규모이지만 지속적으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3년 수입액 기준으로 중국이 전체 수입의 50.6%를 차지하고 있다. - 다만‚ 전체 수입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중국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베트남에서의 만두 수입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원료 현황) 원료별 사용 비중은 소맥분(밀가루) 약 3만 900톤으로 43.2%의 비중으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돼지고기 약 2만 1‚000톤(30.6%)으로 나타나 전체 원료의 7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만두피의 주요 재료인 소맥분은 전량 수입하여 가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두소의 경우 다진마늘무쇠고기엑기스를 제외한 대다수가 국산 농산물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 (유통) 2013년 만두의 소매 유통 채널의 매출액은 약 3‚845억원으로 작년 대비 약 7.4% 정도 증가하였으며‚ 할인점이 전체 매출액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4년 3/4분기까지의 매출액 기준으로 만두 중 교자만두가 가장 잘 팔리고 있는 제품(30.7%)이며‚ 이어서 왕만두(27.1%)‚ 군만두(19.1%) 순으로 나타났다. 만두는 날씨가 추운 계절이 포함된 1/4분기와 4/4분기에 좀 더 잘 팔리는 계절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소비 형태) 최근 1개월 내 만두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 비중은 2012년 27.9%‚ 2013년 46.4%‚ 2014년 53.8%로 매년 증가하고 있어‚ 만두의 생산 및 유통 규모의 성장을 짐작하게 하고 있다. □ (국내시장 동향)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간편조리식품을 선호하는 소비 추세가 확대되고‚ 소비자들의 요구사항도 다양해짐에 따라 국내 만두시장도 이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 외국 만두를 활용하여 신제품을 개발(예. 중국식 만두제품인 ‘빠오즈’‚ ‘새우완탕’‚ ‘하까우’‚ 이탈리아 파스타 만두컨셉인 ‘알리오올리오군만두’ 등)하고‚ 만두피의 원재료(예. 감자전분‚ 라이스페이퍼‚ 메밀 등)를 차별화한 제품 출시‚ 만두 종류의 다양화 등을 통해 소비자의 니즈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해외 동향) 2013년 기준 약 104억 위엔 규모인 중국 냉동만두 시장은 전년도 대비 11.9% 증가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은 명절에 만두를 먹는 풍습과 빠른 도시화 등으로 만두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분석된다. ○ 일본은 우리나라처럼 교자만두(2013년 만두 시장 점유율 42.8%)가 가장 잘 팔리고 있으며‚ 중국식 만두(32.1%)나 스프링롤(25.1%)과 같이 다양한 아시아권 유형의 만두도 많이 먹고 있다. ○ 베트남은 비교 국가 중 가장 빠르게 만두 시장이 커지고 있는 곳으로‚ 2013년 기준 365백만동 규모이다. 이는 2008년 136백만동에 비해 2.5배 이상 증가한 규모이다. 대부분 베트남 전통 만두의 일종인 스프링롤(2013년 시장 점유율 기준 84.9%)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 미국 만두시장 규모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나‚ 이탈리아 만두 라비올리 제품이 대중화된 편이다. 아시아권 만두 품목은 미국내 아시아마트를 중심으로 주로 유통되었으나 최근 소비가 늘어나면서 일반 대형마트로도 유통이 확장되고 있다. 특히 채식주의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데‚ 고기류를 제외한 만두가 영양‚ 식품안전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인식이 전환되면서 성장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2013년 기준 Euromonitor International [ 어묵 ] □ (생산추이) 2013년 어묵 생산량은 15만 6천톤(전체 어육가공품 시장의 73.0%차지)으로 2003년 대비 40.3% 증가하였으며‚ 생산액 기준으로는 2‚300억원에서 4‚300억원(전체 어육가공품 시장의 65.3%)으로 86.7% 증가 하였다. ○ (어묵 종류별 생산 비중) 튀김어묵의 생산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으며‚ 이어서 맛살로 나타났다. 맛살은 2010년까지 전체 어묵 중에서 30% 전후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2011년부터 그 비중이 10%대로 낮아졌고‚ 감소한 비중만큼 튀김어묵 생산량이 증가한 구조이다. ○ (출하량) 출하량은 2003년 9.6만톤에서 2013년 13만톤으로 34.8% 증가하였으나 출하액은 2‚240억원에서 4‚450억원으로 98.7% 상승하였다. 이는 연육을 포함한 원가가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출하단가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수출액 추이) 어묵은 수입 보다는 수출 규모가 크며‚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수출량이 감소하다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2013년은 7‚723만톤(수출액 기준 : 약 2‚900만달러)로 증가하였다. ○ 2000년까지만 해도 맛살이 5‚453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약 92% 차지하였으나‚ 2000년 초반 급감하며 2007년 954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전세가 역전되었다. 맛살의 수출량 감소는 태국‚ 베트남 등 맛살을 먹는 국가에서 직접 제조하기 시작하면서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 다만‚ 어묵(맛살 제외) 수출액은 2013년에 1‚753만달러로서 2000년 대비 267%‚ 2007년 대비 83% 증가하였다. □ (국가별 수출액 추이) 어묵(맛살 제외)은 주로 미국‚ 중국‚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미국‚ 중국‚ 일본이 전체 수출 시장의 약 70%(2013년 수출액 기준)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전체 수출 시장의 53.7%를 차지하는 미국의 수출 규모는 2009년 575만 달러에서 2013년 618만 달러로 7.5% 증가하였으며‚ 중국은 39만 달러에서 339만 달러로 769% 증가하였다. ○ 어묵(맛살류)은 주로 포르투갈‚ 중국‚ 대만으로 수출되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