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스낵과자 시장규모 최근 5년간 50% 성장‚ 과자시장의 33% 점유 빵시장 5년간 55% 증가‚ 양산빵은 전체 빵류시장(1조 9‚900억원)의 30% 차지

추천0 조회수 36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스낵과자 시장규모 최근 5년간 50% 성장‚ 과자시장의 33% 점유 빵시장 5년간 55% 증가‚ 양산빵은 전체 빵류시장(1조 9‚900억원)의 30% 차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1-1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재수)는 스낵과자‚ 양산빵에 대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조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이번 보고서는 개별 가공식품의 산업구조 변화 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입분석하여 품목별 시장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2010년부터 시작하여 이번 보고서까지 총 42개 품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10) 김치 등 8품목‚ (’11) 빙과 등 5품목‚ (‘12) 비스킷 등 12품목‚ (’13~) 17품목 □ (스낵과자) 식약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에 따르면 2012년 스낵과자 생산량은 42만톤(전체 과자시장의 48.5%차지)‚ 생산액 기준으로는 1조 38억원(전체 과자시장의 33.1%)을 나타냈다. * 스낵과자 : 곡류‚ 서류‚ 견과류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유탕‚ 굽기‚ 압출‚ 팽화 등과 같은 공정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식품 ○ (출하액)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지난 5년간 스낵과자 출하액은 고급화 등에 따른 출하단가 상승에 힘입어 6‚679억원에서 1조 40억원으로 5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출입 현황) 스낵과자를 포함한 과자류 수출은 2008년 2억 5천만여 달러에서 2013년에 4억 3천만여 달러로 72% 상승하였으며‚ 수입 실적은 2억 3천만여 달러에서 2013년에 4억달러 수준으로 약 68% 급증하였다. ○ (유통구조) 소매판매관리시스템(POS)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소매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으며‚ 2013년 스낵과자의 소매시장 규모는 매출액 기준 1조 1‚977억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낵과자는 일반식품점(22.0%)‚ 편의점(21.1%)‚ 할인점(20.8%)‚ 독립슈퍼(20.3%)에서 고른 판매 비중을 보였고‚ 계절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매출액) 2014년 상반기 기준으로 스낵과자 중에서도 새우깡‚ 꿀꽈배기와 같은 소맥(밀)과자가 가장 잘 팔리고 있는 제품(33.0%)이며‚ 이어서 옥수수(26.7%)‚ 감자과자(24.4%) 순으로 나타났다. ○ (제품 동향) 국내 스낵과자 시장에서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특징은 생감자 등 국산 원료 사용 및 유기농 원료 이용 제품 증가‚ 편의점 PB(Private brand) 제품의 등장‚ 고가 수입 과자 유통‚ 저칼로리 스낵 등이다. 또한‚ 기존 스낵에 다양한 맛을 추가하거나 인절미누룽지와 같은 옛 맛을 재현한 제품의 출시도 눈에 띄고 있다. □ 외국의 스낵과자 소비와 관련하여‚ 이국적인 맛(향신료 등)이나 자극적인 맛을 추가한 제품‚ 나트륨 함량을 낮춘 제품‚ 슈퍼푸드를 원료로 한 제품 등이 출시되고 있다. ○ 2013년 기준 870억 달러 규모인 미국 스낵과자 시장은 바나나‚ 당근‚ 피스타치오와 같은 건강에 좋은 원료를 사용하거나 저지방‚ 저칼로리 제품을 선보이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감자과자의 시장점유율(2012년 기준 50% 이상)이 높으며‚ 일본산 감자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최근에는 일본내에서 쌀과자 시장에 대한 전망이 밝아 스낵과자에도 쌀로 만든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 (양산빵)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되어 포장출하된 뒤‚ 마트편의점 등 소매점에서 주로 판매 되고 있는 양산빵은 2008년 5천 400억원의 규모에서 2012년 빵류 생산액* 1조 9‚854억원의 약 30% 정도인 6천억원 규모로 성장하였다. * 빵류 생산액 : (’03) 1조 342억원 → (’08)1조 2863억원 → (’12) 1조 9854억원 ○ (수출액) 빵류는 수출입 규모가 크지 않으나 2012년 이후 미국으로 백만불 이상 수출되고 있고‚ 수출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 빵류 수출액 : (‘10) 40만 달러 → (’12) 116만 달러 → (‘13) 168만 달러 ( 출처 :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www.kati.net) ) - 다양한 종류의 양산빵이 수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호빵의 비중이 높은 편이며 주로 한인슈퍼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통 현황) 국내 양산빵 시장은 기업간 거래(B2B) 60%‚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40%로 추정되고 있으며‚ 소매판매관리시스템(POS)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매점 매출액은 2013년 기준 약 3‚699억원으로 나타났다. - 소매점 매출액은 2013년 상반기 대비 2014년 상반기에 7.0% 증가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편의점(24.9%)과 독립슈퍼(22.8%)‚ 할인점(22.2%)에서의 매출 비중이 높았다. 또한 양산빵 중에서 유일하게 계절성이 나타나는 호빵으로 인해 4/4분기의 매출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 (소매 시장 동향) 양산빵 중에서도 샌드‚ 크림‚ 소보루와 같은 일반빵이 매출의 34%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케(21.1%)‚ 식빵(17.8%) 순으로 나타났다. - 특히‚ 케‚ 호떡‚ 페스트리의 경우 2013년 상반기 대비 2014년 같은 기간 매출액 및 매출 비중이 상승하였다. - 또한‚ 국내 빵류 전체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특징인 건강한 식재료‚ 고급화 등이 양산빵 시장에도 적용되고 있고 캐릭터를 이용한 마케팅 활동도 꾸준히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빵류의 해외 시장도 국내 시장과 마찬가지로 건강을 생각하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 미국의 양산빵은 가정에서 빵 요리의 재료로 쓰이는 식빵‚ 통밀빵‚ 베이글‚ 번(bun) 등의 제품이 66.2%(2013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빵 시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인 ‘글루텐 프리’ 제품‚ 발아곡물이 들어간 빵 등이 출시가 되고 있다. ○ 일본은 제빵기업 제품이 마트‚ 편의점 등의 소매 유통망을 중심으로 판매가 되고 있는데‚ 고급재료를 사용하여 양산빵의 품질을 높이고 있다. 이 외에 영국은 채소가 들어간 빵이 주목을 받고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 배호열 식품산업정책과장은 올해 안으로 라면‚ 식용유‚ 아이스크림‚ 만두‚ 어묵‚ 액상차‚ 커피믹스 등 7개 품목에 대해서도 시장현황을 조사하여 발표할 계획이라고 설명하면서 조사대상 각각의 품목에 대해서는 3~4년을 주기로 시장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 보고서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식품산업 통계정보 시스템” (http://www.aTFIS.or.kr)에서 다운받아 볼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