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립종자원‚ 2014년 3사분기 품종보호동향 발표

추천0 조회수 16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립종자원‚ 2014년 3사분기 품종보호동향 발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2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14년 9월 30일 기준으로 우리나라 품종보호 누적 출원건수(’98년 이후)가 7‚300건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되었다. 국립종자원(원장 신현관‚ 이하 종자원)은 2014년 3사분기 품종보호 동향을 발표하면서 9월 30일 현재 우리나라 품종보호출원 누적건수가 7‚307품종‚ 등록품종은 5‚160품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5개년(‘08~’12) 누계 기준으로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 회원국 72개국 중 8위 수준에 해당한다. * 품종보호출원 상위 10개국 : ①유럽연합‚ ②미국‚ ③중국‚ ④일본‚ ⑤우크라이나‚ ⑥네덜란드‚ ⑦러시아연방‚ ⑧한국‚ ⑨캐나다‚ ⑩호주 올해 3사분기까지 신품종 출원 건수는 475품종으로 전년 동기 누계(425품종) 대비 50품종이 증가하였다. 작물별로는 화훼류가 247품종으로 52%를 차지해 가장 많고‚ 이어 채소 21%(100품종)‚ 식량 12%(59품종)‚ 과수 7%(34품종)‚ 특용작물 4%(19품종) 등의 순 이중 국내출원은 405품종으로 85%를 차지하였으며 출원 주체별로는 국가기관 124품종(26%)‚ 지자체 78품종(16%)‚ 민간 종자업체 125(26%)‚ 민간 육종가 62(13%)의 순. 이와 함께 외국출원은 화훼 59‚ 과수 7‚ 채소 4품종 등 총 70품종(15%)이 출원되었으며‚ 연도별 외국출원 비율은 제도 초기에 비해 그 비중이 급격히 떨어지다가 최근 5년 동안 15% 선 유지 * 외국품종 출원비율 : ‘03) 46% → ‘06) 24 → ‘09) 12 → ‘12) 15 → ‘14) 15% 출원품종 수가 다소 증가한 것은 그동안 출원 실적이 없었던 새로운 식물종의 출원과 화훼류의 출원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이며‚ ‘델로스페르마’‚ ‘레갈펠라고늄’ 등 외국에서 출원된 화훼류가 주종을 차지한다. * 새로 출원된 식물종 : (화훼) 델로스페르마‚ 레갈펠라고늄‚ 레브티아‚ 엑사쿰‚ 목련‚ 아이비‚ 왁스플라워‚ 안젤로니아‚ (채소) 산부추‚ 왕고들빼기‚ (특용) 지치‚ (과수) 아로니아 * 화훼류의 출원이 전년 동기 대비 45품종 증가(‘13년 202품종 → ’14년 247품종). 이중 신규 개인육종가의 출원이 26품종(크라슐라 오바타 3‚ 아마릴리스 5‚ 국화 18품종) 또한 3사분기까지 등록된 보호품종은 424품종으로 현재까지 품종보호 등록품종수는 총 5‚160품종이다. 작물류별로는 화훼 188품종(44%)‚ 채소 133품종(31%)‚ 식량 66(16%)‚ 특용 14(3%)‚ 과수 13(3%) 등의 순이며‚ 국화가 54품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장미 45‚ 고추 42‚ 벼 28‚ 배추 23‚ 무 21‚ 백합 17‚ 딸기 11품종임 * 품종보호등록절차: 품종보호출원 → 재배심사(1~2년) → 등록거절 결정 특히‚ 딸기는 지난 2012년 품종보호 대상작물로 지정된 이후 2년간의 심사를 거쳐 올해 처음으로 국산품종이 등록되었다. - 이번에 등록된 설향‚ 매향 등 딸기 신품종 10개 품종은 모두 국산품종으로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육성되었다. - 딸기는 2005년 국산품종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장희(아키히메)‚ 육보(레드펄) 등 일본품종의 보급률이 85%를 넘어서는 등 로열티(품종사용료) 지급 문제가 불거졌으나 설향‚ 매향 등 국산품종이 잇달아 개발‚ 보급되면서 국산품종의 보급률이 현재 78%를 넘어서는 등 로열티 걱정 없이도 일본 등으로 딸기 수출이 가능하게 됐다. - 딸기는 2012년 품종보호대상작물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48품종이 출원되어 이중 11품종이 등록되었다. * 딸기 출원현황 : 출원 48품종(국내 29‚ 외국 19)‚ 등록 11품종(국내 10‚ 외국 1) 최근 출원등록되는 품종의 경향을 살펴보면 2012년 품종보호 대상이 전 식물종으로 확대된 이후 종의 다양성이 크게 증가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출원 식물종의 수: (‘07년) 72종 → (’09년) 96종 → (‘11년) 121종 → (’13년) 133종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물종의 다양성은 육종 자원의 확대와 영양 가치의 증진‚ 소비 활성화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종자원 신현관 원장은 “그동안 품종보호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으로 국내 육종이 확대되고 해외 의존도가 높은 품종들에 대한 국내 품종개발이 촉진되는 등 종자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라고 밝혔다. * 국내 육성품종 출원건수: (‘06)321 → (‘08)416 → (‘10)480 → (‘13)510 * 국산품종 점유율 증가: 딸기(설향매향 등) (‘05) 9% → (‘13) 78%‚ 장미(그린뷰티 등) (‘05) 1% → (‘13) 26.9%‚ 프리지아(샤이니골드) (‘12) 35% 이와 함께 농식품부에서는 골든시드프로젝트와 민간육종연구단지(Seed Valley) 사업 등을 통해 농업창조경제의 원동력인 종자산업 육성전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앞으로도 우수한 품종개발과 함께 품종보호출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