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중화권 및 동남아 핵심 거점인 홍콩시장 개척

추천0 조회수 9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화권 및 동남아 핵심 거점인 홍콩시장 개척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08-20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중화권 시장 개척의 관문인 홍콩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하여 8월 14일부터 16일까지 홍콩에서 개최한 「2014 홍콩식품박람회(Food Expo 2014)」에 한국관을 구성‚ 참여하였다고 밝혔다. ㅇ 올해로 25회째인 홍콩식품박람회는 신선농산물‚ 육류‚ 유제품‚ 수산‚ 음료 등 식품 전반을 아우르는 홍콩 최대의 식품 전문 박람회로서‚ 총 26개국 1‚180개 수출업체가 참가하여 65개국 2만여 명의 바이어가 박람회장을 방문하였다. □ 한국관은 ‘신선하고 안전한 한국 농식품’이란 주제로 ㈜ 코파(파프리카)‚ 농업회사법인 ㈜ 청계원(신선계란)‚ ㈜ 한성푸드(김치)‚ 남해보물섬마늘영농조합법인(흑마늘)‚ 고려인삼주식회사 등 36개 업체 홍보관과 3개의 특별 홍보관(신선‚ 김장김치‚ 수산)으로 구성하여 46백만 달러 규모의 수출상담이 이루어졌다. ㅇ (주)엔-초이스는 결명자‚ 15곡 등 3만 달러‚ (주)복음자리는 홍콩 및 태국 수입바이어와 유아용 과자류 등 월 4만 달러 규모의 현장 계약을 성사시켰으며‚ 국순당은 마카오 지역에 막걸리를 신규 공급하기로 하였다. ㅇ 특히‚ 연간 150만 달러 상당의 한국 농식품을 수입하고 있는 홍콩 수입업체 Topweal은 ㈜ 코파 등과 협의를 통해 2만 달러 규모의 파프리카를 수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홍콩은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문화가 접목된 비즈니스의 개방도시로 한류열풍과 식품 안전성 및 고품질 이미지 등에 따른 한국 식품 인지도 향상으로 딸기‚ 과실류‚ 버섯류‚ 유제품‚ 인삼류‚ 닭고기‚ 면류‚ 주류‚ 과자류 등 우리 농식품의 주력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ㅇ 2013년 대홍콩 농식품 수출액은 3.5억 달러로 전년대비 28.7% 증가하였으며‚ 올해도 7월 말 현재 2.2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0%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 대 홍콩 수출실적(백만 불): (’11)274 → ('12)269 → (’13)346 → (’14.7)216 * 전년동기(7월말) 대비 주요 증가 품목(백만 불): 인삼류 28.8백만 불(24%)‚ 딸기 8.6(6%)‚ 라면 7.9(15%)‚ 김치 2.8(35%)‚ 돼지고기 2.3(367%) ㅇ 특히‚ 올해에는 ‘불닭맛’‚ ‘치즈맛’ 등 독특한 맛의 라면이 새롭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김치도 현지 시티슈퍼 등 프리미엄 마켓에 진입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 농식품부 관계자는 “홍콩은 중화권 및 동남아시아 수출시장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고 있어 주변국으로 시장이 확대되는 시너지 효과가 큰 수출시장이다.”라며‚ “올해 11월에 K-FOOD FAIR 개최를 통해 홍콩 소비자에게 더욱 친근한 한국 농식품으로 다가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