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85.1% 농수산업에 종사

추천0 조회수 14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85.1% 농수산업에 종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3-12-10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국립한국농수산대학(총장 남양호)이 전체 졸업생의 영농실태를 조사한 결과 졸업생 3‚012명 중 현재 2‚401명이 농수산업에 종사하고 있고‚ 한농대 졸업생의 영농영어종사율은 85.1%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7년에 개교한 한농대는 2000년 209명의 졸업생을 처음으로 배출한 이래‚ 총 3‚012명의 농수산업 CEO를 배출했다. 전체 졸업생 중 1‚591명(’02~’13년 해당)은 의무영농(6년) 중에 있다. 현재까지 의무영농을 마친 졸업생은 1‚014명(’00~’07년 해당)이며‚ 이 중 810명은 계속해서 농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농영어종사율) 전체졸업생 중 영농종사자의 비율(85.1%) 계산법 : (1‚591+810)/(3‚012-69-92-31)×100=85.1% (영농유예) 차후 영농계획‚ (학비상황) 영농포기자‚ (기타) 보고서 미제출‚ (면제) 사망‚ 국가유공자‚ 장애 등 전체 졸업생은 남성 2‚665명과 여성 347명이며‚ 학과별로 축산학과(대가축학과‚ 중소가축학과) 출신 졸업생(697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학과별 졸업생 현황 3‚012명 - 축산학과의 경우 ’08년부터 대가축학과와 중소가축학과로 구분해 학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졸업생 실태조사에서는 두 학과 졸업생을 합산해 조사 - 수산양식학과는 ’09년 신설되어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해 다른 학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음 지역별로 경기도에서 활동하는 졸업생이 652명으로 가장 많고 제주도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180명의 졸업생은 대도시 지역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무영농을 하고 있는 졸업생(1‚591명) 중 농수산업을 주업으로 생활하고 있는(자가영농) 사람은 1‚483명이며‚ 이들 중 920명은 부모와 함께하고 있으며‚ 이외에 부모로부터 독립해 자신만의 농업 경영체를 창업한 사람은 303명‚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농어장을 운영하고 있는 사람이 249명‚ 기타(조부모‚ 수도회 협농 등)가 1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농업법인과 농업연구기관‚ 장기현장실습농장에 취업해 영농이행 중인 사람은 10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농수산업에 종사하면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많은 졸업생이 영농자금 부족을 꼽았고‚ 농지기반 부족‚ 문화생활의 어려움‚ 영농기술경험 부족‚ 부모와의 갈등‚ 결혼문제 등을 이야기하는 졸업생도 있었다. 남양호 총장은 “지난 16년간 한농대는 대한민국 농림수산업을 이끌어갈 CEO 양성에 매진해왔으며‚ 이들은 각자의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해 리더로서 활동하고 있다”며‚ “농림수산업이 충분히 블루오션이라는 것을 졸업생들이 몸소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농대 졸업생들은 생산만 하는 1차 산업 형태가 아닌‚ 생산과 유통‚ 판매 등 2차‚ 3차 산업을 융합한 형태의 새로운 농어업 활동을 하고 있다”며‚ “창조경제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는 인재들이 바로 한농대 졸업생이다”고 말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