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2013년 고등어 등 11개 어종 총허용어획량 확정

추천0 조회수 6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2013년 고등어 등 11개 어종 총허용어획량 확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2-12-27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서규용)는 중앙수산자원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13년 총허용어획량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시행계획」을 확정·고시하였다고 밝혔다. ○ 총허용어획량(TAC : Total Allowable Catch)은 11개 어종에 대해 실시하고 있으며‚ 대중 수요가 많거나(고등어‚ 오징어) 남획될 가능성이 커서 자원을 관리할 필요가 있거나(전갱이 등 6개 어종)‚ 시·도지사의 관리가 필요한 어종(제주소라‚ 참홍어‚ 개조개)에 대해 연간 잡을 수 있는 어획량을 설정하여 그 한도 내에서만 잡도록 하는 제도이다. □ 2013년도 총허용어획량은 고등어 등 11개 어종에 총 417천 톤(2012년도 : 409천 톤)이며‚ 이는 2011년 우리나라 연근해 어획량 1‚236천 톤의 33.7% 수준이다. ○ 총허용어획량 설정은 국립수산과학원이 적정어획량으로 권고한 범위(생물학적 허용어획량‚ ABC : Allowable Biological Catch)와 전년도 총허용어획량 등 어업여건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며 ○ 어종별로는 고등어 135‚000톤‚ 오징어 191‚000톤‚ 전갱이 14‚700톤‚ 붉은대게 38‚000톤‚ 대게 1‚521톤‚ 키조개 9‚080톤‚ 꽃게 19‚500톤‚ 도루묵 4‚550톤‚ 개조개 2‚090톤‚ 참홍어 200톤‚ 제주소라 1‚310톤으로 총 11개 어종이다. ○ 이중 주요 어종(고등어‚ 오징어‚ 전갱이‚ 붉은대게‚ 대게‚ 키조개‚ 꽃게‚ 도루묵) 8종은 중앙 정부에서 관리하고 ○ 일부 해역에 주로 분포하는 개조개는 작년 제주소라(제주특별자치도)‚ 올해 참홍어(인천광역시·전라남도)에 이어 지방자치단체(전라남도 및 경상남도)에 관리 권한을 이양하여 지역 특성에 맞게 관리하도록 하였다. □ 농식품부는 향후 수산자원 동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자원 재평가를 실시하여 어종별 총허용어획량 배분량을 조정·관리함으로써 자원평가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수산자원 여건 변화에 적기 대응할 계획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