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북한전통음식‚ 맛의 향연을 펼친다

추천0 조회수 15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북한전통음식‚ 맛의 향연을 펼친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2-06-20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어복쟁반‚ 평양노치‚ 새미튀기‚ 총떡‚ 우메기. 이들의 공통점은? 지금은 이름도 낯설지만 북한지역 주민들이 지역별로 즐겨먹던 북한 전통음식이다. 같은 민족임에도 60여년 이상을 떨어져 살다보니 북한 음식하면 평양냉면만 떠올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 북한 전통음식도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음식자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서규용)와 한식재단(이사장 양일선)은 북한전통음식문화연구원(원장 이애란)을 통해 지난해부터 한식 원형복원사업*을 추진하여 북한 전통음식을 복원하였다. * 원형복원 사업 : 한식 및 식문화 관련 고조리서를 비롯‚ 관련 콘텐츠를 발굴하고 DB화하여 관련연구 및 산업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추진 첫 결실로‚ 평양 등 6개 지역 150여종의 북한 전통음식을 발굴하고 대표음식인 어복쟁반 등 18종에 대해 21일 낮 12시에 북한전통음식문화연구원에서 전시와 함께 시식회 행사를 갖는다. 이날 행사에는 농식품부 여인홍 식품산업정책실장‚ 통일부‚ 이북오도청‚ 민주평통 등 정부부처 및 기관 관계자‚ 한식재단‚ 학계 대표‚ 실향민 및 새터민 등 50여명이 참석할 계획이다. 북한전통음식문화연구원은 그동안 문헌조사와 전문가 자문회의‚ 실향민과 새터민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등을 통해 평양‚ 평안도‚ 함경도‚ 강원도‚ 황해도‚ 개성 등 6개지역을 대표하는 150여 가지의 대표음식을 발굴했다. 발굴된 북한 전통음식은 쇠고기 편육을 놋쟁반에 담아 여럿이 먹는 어복쟁반 등 평양 지역 35종‚ 잉어과의 민물생선 새미를 튀긴 새미튀기 등 평안도 지역 25종‚ 소금에 절인 명태에 소를 넣고 얼려서 다시 찌는 명태순대 등 함경도 지역음식 27종이다. 또한 밥위에 닭고기와 나물 등을 얹어서 먹는 해주비빔밥 등 황해도지역 23종‚ 메밀 부침개 안에 김치소 등을 넣어 지져먹는 총떡 등 강원도 지역음식 19종‚ 찹쌀가루와 멥쌀가루를 섞어 지져먹는 우메기 등 개성음식 24종 등 총 153가지 음식이 조사되었다. 발굴된 북한음식에 대해서는 식재료 용어와 계량단위 등을 우리말로 옮긴 후 표준 조리법으로 재현했고‚ 평양온반 등 10대 대표음식은 일반가정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동영상으로도 제작했다. 관련자료와 해당영상은 한식재단 홈페이지(www.hansik.org)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한식 원형복원 사업의 시작”이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한식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의 발굴과 문화상품으로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식재단 양일선 이사장은 “한식세계화는 남과 북의 식문화를 함께 제시할 때‚ 더욱 가치가 있다”며 “이 조사결과가 관련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되어 북한의 전통 식문화를 계승하고 한식의 원형을 찾아나가는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