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제철 제맛 이달의 수산물 선정 및 수산물 축제 행사 개최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제철 제맛 이달의 수산물 선정 및 수산물 축제 행사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0-08-3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농림수산식품부는 9월의 제철 웰빙 수산물로 전어와 대하를 선정‚ 발표했다. 이 두 품목은 9월 한 달 동안 온라인 홍보와 함께 특별 할인판매 등이 실시된다. 또한 지역 특산 수산물을 이용한 축제행사도 개최된다 「전어」 바야흐로 전어의 철이 왔다.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고 한다. ○ ‘봄 도다리 가을 전어’라는 말처럼 제철 생선을 잘 표현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전어는 청어목 청어과의 바닷물고기이다. 맛이 좋고 많이 잡히기 때문에 중요한 수산 자원이다. ○ 「자산어보」는 ‘기름이 많고 달콤하다’고 적혀 있다. 강원 영동에선 새갈치‚ 전라도에선 되미‚ 뒤애미‚ 엽삭‚ 경상도선 전애라고 불린다. ○ 크기에 따라 이름도 다르다. 큰 것은 대전어‚ 중간 크기의 것은 엿사리라고 하며‚ 강원도에서는 작은 것을 전어사리라 부른다. 전어는 수심 30m 이내의 연안에 주로 서식한다. 6∼9월에는 만 밖으로 나갔다가 가을이면 다시 만 안으로 들어온다. 남쪽에서 겨울을 나고‚ 4∼6월에 난류를 타고 북상하여 강 하구에서 알을 낳는다. ○ 함정그물로 고기떼가 지나가는 통로를 막아 고기떼를 가둘 수 있는 그물 쪽으로 유도하여 살아 있는 채로 잡는다. ○ 뼈째로 썰어서 회로 먹거나‚ 소금구이‚ 무침 등으로 먹으며 젓갈로도 담근다. 전어 새끼젓은 엽삭젓‚ 혹은 뒈미젓‚ 내장만을 모아 담근 것은 전어 속젓이라 한다. 내장 중에서도 위만을 모아 담은 것은 전어 밤젓 또는 돔배젓이라 하며‚ 양이 많지 않아 귀한 젓갈에 속한다. 「대하」 대하는 십각목 보리새우과의 갑각류이다. 먹이와 산란을 위해 연안과 깊은 바다를 오가며 생활하는 몸집이 큰 대형 새우로 수명은 약 1년이다. 소금구이로 많이 먹고‚ 양식을 하기도 한다. ○ 몸집이 큰 새우라는 뜻의 대하(?蝦)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일본어인 ‘타이쇼에비(タイショウエビ)’는 타이쇼 시대부터 많이 잡힌 새우라는 데에서 유래한다. ○ 살이 많고 맛이 좋은 고급 새우로 트롤어업이나 양식을 통해 잡힌다. 경제성이 높고‚ 보리새우에 비해 기르는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많이 양식한다. 은박지를 얹은 석쇠에 소금을 깔고 구워서 먹는 소금구이는 상당히 인기가 많다. 단백질과 무기질 함량이 높으며 튀김과 구이로 먹을 때는 껍질째 먹기도 한다. 농식품부는 홈페이지(www.mifaff.go.kr)를 통해 정어와 대하의 영양과 요리 등 관련 정보를 소개한다. 또한 ‘농식품부 밥상 지킴이’로 활동 중인 주부 블로거들이 전어와 대하를 재료로 여러 가지의 요리를 선보이는 특별코너도 마련하였다. 전어와 대하를 싸게 사려면 수협중앙회 수협쇼핑(www.shshopping.co.kr)‚ 한국수산회 인터넷 수산시장(www.fishsale.co.kr)를 이용하면 된다. 한 달 동안 전어와 대하를 10% 싸게 판다. 「9월의 수산물 축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9월‚ 가을바다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고창수산물축제’가 고창 도립공원 선운산내 수산물축제장에서 9월11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된다. ○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이번 수산물축제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신선한 수산물 무료 시식회‚ 요리전시 및 방류행사를 비롯한 각종 기념행사와 관광객이 직접 참여하는 다양한 이벤트가 가득하다. ○ 특히‚ 고창의 대표적 수산물 ‘갯벌 풍천장어잡기 대회’는 갯냄새 물씬 나는 청정해안에서 장어를 직접 잡고‚ 그 자리에서 바로 먹을 수 있어 관광객들의 건강과 재미까지 충족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농림수산식품부와 수협중앙회가 공동 후원하는 전국 수산물 축제는 수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고‚ 어촌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평소 교류가 적었던 수산인과 도시민 간 화합과 협동의 장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도시민들의 어촌에 대한 관심 역시 크게 제고될 것으로 보인다 (축제안내: http://susan.gochang.go.kr/)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