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인천의 유래와 연혁

추천0 조회수 126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인천의 유래와 연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3-09-26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인천의 최초 명칭은 미추홀(彌鄒忽)이다.
이 지역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등장하는 것은 고구려 장수왕 때(475)로 매소홀현(買召忽縣)이었다.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 때 한자식으로 바뀌어 소성현(召城縣)이 되었다.
고려 숙종(1095~1105) 때 숙종 어머니의 내향(內鄕)이었던 관계로 경원군(慶源郡)으로 개칭·승격되었다. 그 뒤 인종(1122~1146)때에 순덕왕후 이씨의 내향이라 하여 인주(仁州)로 승격되었는데 이자겸(李資謙)의 난으로 인주 이씨가 몰락하다시피 하였으나 공양왕 2년(1390)에 이르러 다시 경원부로 환원되었다.
그것은 ‘칠대어향(七代御鄕)’이라 하여 문종에서 인종에 이르는 7대 동안 고려왕실과 관련이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왕조가 개창되면서 경원부는 다시 인주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태종 13년 주(州)자를 가진 도호부 이하의 군·현 명을 산(山)‚ 천(川) 두 글자 중 하나로 개정토록 하여 현재의 인천으로 탄생하게 되었고‚ 그날 (1413년 10월 15일)을 기려 ‘인천시민의 날’ 이 제정되었다. 유래와 연혁1400’s1413. 10. 15조선 태종 13년 「仁州」에서 「仁川郡」으로 변경1800’s1883.開港되면서 부내(府內)‚ 먼우금(遠又爾)‚ 주안(朱雁)‚ 남촌(南村)‚ 조동(鳥?)‚ 신현(新峴)‚ 황등천(黃等川)‚ 전반(田反)‚ 이포(梨?)‚ 다소(太少)의 10개면을
통합하여 仁川을 이룸1895. 05. 2623府制 실시에 따라 仁川府 설치1910’s1914. 04. 01仁川府의 일부와 부평군을 병합하여 부천군 설치
1914. 09. 01월미도를 仁川府에 편입
1936. 10. 01부천군 다주면 일부와 문학면 일부가 仁川府에 편입1940’s1940. 04. 01부천군 문학(文鶴)‚ 남동(南?)‚ 부내(富內)‚ 서곶(西串) 등 4개면이 仁川府에 편입
1949. 08. 15지방자치법 시행에 따라 仁川府를 仁川市로 개칭1960’s1963. 01. 01부천군 작약도를 인천시에 편입
1968. 01. 01區制 실시로 4개區 설치(중구‚ 남구‚ 동구‚ 북구) 중부출장소에 북부출장소 관할 송월동을 편입하여 中區 설치북부출장소와 동부출장소를 통합하여 東區 설치남부‚ 주안‚ 문학‚ 남동 4개의 출장소를 통합하여 南區 설치부평출장소와 서곶출장소를 통합하여 北區 설치
남동출장소‚ 서곶출장소 및 7개 행정동 설치《4區 2出張所 66개?》1970’s1973. 07. 01동구 월미도를 중구에 편입1980’s1981. 07. 01경기도에서 분리하여 정부직할시로 승격(仁川直轄市)
1988. 01. 012개구 설치《6區 94개?》 南區(1출장소 40개동) → 南區(27개동)‚ 南?區(13개동)로 분구北區(1출장소 29개동) → 北區(19개동)‚ 西區(10개동)로 분구1989. 01. 01경기도 3개면을 仁川直轄市에 편입 경기도 옹진군 永宗面‚ 龍遊面 → 인천직할시 중구경기도 김포군 桂陽面 → 인천직할시 북구3개 행정동(영종동‚ 용유동‚ 계양동) 설치《6區 97개?》1990’s1995. 01. 01인천직할시에서 인천광역시로 명칭변경
1995. 03. 012개 自治區 설치 北區(32개동) → 富平區(21개동)‚ 桂陽區(11개동)로 분구南區(31개동) → 南區(23개동)‚ 延壽區(8개동)로 분구1995. 03. 01市·道間 경계조정 북구 서운동 일부 → 경기도 부천시로 편입경기도 江華郡(1읍 12면)‚ 甕?郡(7면)‚ 金?郡 黔丹面 인천광역시에 편입
《2郡 8區‚ 1邑 19面 124개?》1998. 10. 10 ~ 11. 10과소동 통폐합 (1邑 19面 116개?으로 축소)2000’s2001. 12. 28서구 검단동이 검단1동‚ 검단2동으로 분동
2003. 03. 01연수구 옥련동이 옥련1동‚ 옥련2동으로 분동 계양구 계산3동이 계산3동‚계산4동으로 분동2005. 08. 12서구 검단1동‚ 검단2동이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으로 분동
2005. 12. 30부평구 삼산동이 삼산1동‚ 삼산2동으로 분동
2006. 09. 01서구 검단1동이 검단1동‚ 검단4동으로 분동
2006. 11. 26중구·동구간 관할구역 변경 중구 전동‚ 인현동 일부 → 동구 화평동에 편입중구 인현동 일부 → 동구 송현동에 편입2007. 01. 01연수구 동춘2동이 동춘2동‚ 송도동으로 분동
2009. 02. 01남구 소규모동 통폐합 숭의1동·숭의3동 → 숭의1·3동용현1동·용현4동 → 용현1·4동도화2동·도화3동 → 도화2·3동2009. 07. 20남동구 논현고잔동이 논현동‚ 논현고잔동으로 분동
2010. 06. 10서구 청라동 설치 경서동‚연희동‚원창동 일부 → 청라동2011. 05. 20남동구 논현동이 논현1동으로 명칭 변경 논현고잔동이 논현2동‚ 논현고잔동으로 분동2012. 01. 01연수구 송도동이 송도1동‚송도2동으로 분동 중구 영종동이 영종동‚운서동으로 분동
(2군 8구‚ 1읍 19면 125개동)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incheon.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