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울산시‚ 5월 14일 건립 준공식 개최

추천0 조회수 118 다운로드 수 5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울산시‚ 5월 14일 건립 준공식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05-13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울산 태화루 위용 드러내다”
울산시‚ 5월 14일 건립 준공식 개최
총 506억 원 투입 … 본루‚ 대문채‚ 행랑채 등 갖춰
목재 425톤‚ 석재 806톤‚ 기와 4만 7‚818매 등 투입
진주촉석루‚ 밀양영남루와 함께 ‘영남을 대표하는 누각’으로 불렸던 울산 태화루가 마침내 위용을 드러낸다.
울산시는 5월 14일 중구 태화로 300 태화루 경내에서 ‘태화루 준공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되는 태화루는 총 506억 원(S-OIL(주) 100억 원 기부)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부지 1만 138㎡‚ 총면적 731㎡ 규모로 지난 2011년 9월 착공됐었다.
주요 시설을 보면 태화루 본루(233.28㎡‚ 정면 7칸‚ 측면 4칸‚ 주심포 양식)‚ 대문채(106.56㎡)‚ 행랑채(32.4㎡)‚ 사주문(7.29㎡)‚ 휴게동‚ 문화동 등이 건립됐으며 야외공원 및 경관조명이 설치됐다.
주요 자재는 목재 425톤‚ 석재 806톤‚ 기와 4만 7‚818매 등이 투입됐다.
태화루의 연혁은 『삼국유사』와 김극기의「대화루시서(?和樓詩序)」에서 알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당나라에서 불법을 구하고 돌아온 자장(慈藏‚ 590 ~ 658)이 643년(선덕여왕 12) 울산에 도착하여 태화사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태화루는 태화사 경내에 조성된 누각으로 태화강변 황룡연(黃龍?) 절벽 위에 세워졌다.
오랜 세월을 견뎌온 태화루는 울산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여러 차례에 걸친 중수로 명맥을 이어왔으나‚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낡아 허물어졌거나 멸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668년 울산객사 학성관(鶴成館)이 재건되면서‚ 울산 사람들은 객사 남문루를 ‘태화루’라고 칭하면서까지 그 명성을 간직하고자 하였다.
울산시 관계자는 “과거 우리 선조들이 누정 그 자체로 문화를 만들어냈듯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태화루는 문화·예술의 장으로‚ 그리고 교육·휴식의 공간으로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문화해설사를 배치하여 태화루를 찾는 시민들에게 태화루의 역사와 의의를 알려 역사․문화 도시 시민의 자긍심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태화루가 사라진 지 400여년이 흐른 2014년 현재‚ 울산시민의 염원이 결실을 맺어 원래의 자리를 찾고 우리의 품으로 돌아왔다. 울산 번영의 상징과 같던 태화루가 건립되면서 울산은 또 다른 부흥을 꿈꾸고 있다.
한편 태화루 개방 시간은 담장안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동절기 오후 5시까지)‚ 담장밖은 24시간이다.
붙임 : 행사 개요 등. 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ulsan.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