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천주교의 전통 문화 적응방식의 이해”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천주교의 전통 문화 적응방식의 이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3-03-15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울산대곡박물관‚ 21일 특별전 연계 시민 대상 2차 강연회 마련
천주교 문화를 좀 색다른 관점에서 고찰하는 강의가 울산대곡박물관에서 마련된다.
울산대곡박물관(관장 신형석)은 ‘천주교의 큰 빛‚ 언양’ 특별전과 연계하여 오는 3월 21일(목) 오후 2시 대곡박물관 시청각실에서 강연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민 대상 강연은 지난 2월 28일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다.
강연회에는 강영애(한양대학교) 교수가 ‘천주가사의 음악적 특징 및 연구 현황’을‚ 주은경(동아대학교) 교수가 ‘한국 문화로서의 천주교 장례노래 연도(煉禱)’를 주제로 강의한다.
특히 이날 강연회는 영상과 더불어 진행되어 보다 실감나게 이해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현재 진행 중인 대곡박물관 특별전에 ‘천주가사’와 ‘연도’에 대한 자료를 전시하고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전시도록에도 관련 내용을 수록했다.
‘천주가사’와 ‘연도’는 모두 우리의 전통문화와 외래 종교인 천주교가 융합되어 나타난 문화이다.
‘천주가사’는 전통 문학 장르인 ‘가사’와 같이 곡조 없이 음률에 따라 읊조리는 형식의 성가(聖歌)로‚ 천주교 수용 초기부터 신자들 사이에서 널리 애창되었다.
박해기에 포교를 위해 널리 퍼져 ‘천당 노래’나 ‘천당 강론’이라고도 하여‚ 어린 아이들은 어머니와 할머니 무릎에 앉아 배운 노래였다. 1860년 경신박해 때 울산 죽림굴에서 피난 생활을 했던 최양업(1821~1861) 신부는 <사향가(?鄕歌)> 등의 천주가사를 짓기도 하였다.
‘연도(煉禱)’는 천주교회에서 죽은 자를 천국으로 보내기 위해 바치는 위령기도로‚ 천주교가 전래된 이래 구전으로 전승되어 현재까지 장례 노래로 불러지고 있다. 전통 선율에 성경의 시편가사를 붙여 규칙적인 리듬이 있다.
신형석 대곡박물관장은 “이번 강연은 좀 전문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으나‚ 평소에 접하기 어려운 내용이기 때문에 흥미로운 사실을 배울 수 있을 것”이라며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가를 당부했다.
한편‚ 지난 1월 30일 개막한 울산대곡박물관의 ‘천주교의 큰 빛‚ 언양 - 구원을 찾아온 길’ 특별전에는 6‚600여 명이 관람했다. 천주교 신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많이 관람하는 등 전국에서 꾸준하게 찾고 있다.
특히 특별전은 대곡박물관의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와 함께 지역 문화계 인사들로부터 울산 지역문화를 잘 조명했다는 찬사를 받고 있다. 전시는 오는 3월 31일까지 계속된다. 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ulsan.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