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조선수군의 보루 ‘개운포성 정비’ 올해 완료

추천0 조회수 11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조선수군의 보루 ‘개운포성 정비’ 올해 완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3-01-30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지난해까지 1~3단계 121.5m‚ 올해 4단계 78.5m
울산시‚ 학술가치 및 인근 문화재 연계 관광 자원으로 활용
울산지역의 대표적인 관방유적인 ‘개운포 성지’(울산광역시 기념물 제6호) 정비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어 성곽이 제 모습을 찾아 가고 있다.
울산시는 개운포 성지 정비사업 1~3단계 구간 121.5m에 대한 공사를 지난 해 말 완료하고 올해 초 안내판 정비에 이어‚ 올해 말까지 4단계 구간 78.5m에 대한 정비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은 울산시가 지난 2009년 4단계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 동안 연차적으로 약 6억 원의 예산을 남구에 지원하여 높이 2~4m‚ 총 길이 200m의 성곽을 보수하고‚ 주변 잔디식재‚ 성곽일주 탐방로 등을 정비하는 사업이다.
개운포성 일대는 1980년대 말까지는 마을이 있어 성곽의 형태를 명확하게 알 수 없었다. 그런데 1990년대 초 마을이 이주함에 따라 성벽유구가 드러나게 되었고‚ 시민들의 관심과 정비 요구도 높아졌다.
이에 울산시는 2004년과 2007년 두 차례에 걸쳐 울산발전연구원에 의뢰하여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기초자료를 확보했으며‚ 2009년 4단계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개운포는 고대로부터 강력한 해상세력의 근거지였으며‚ 신라의 중앙정부가 주목하는 요충지였다. 조선 전기에는 수군만호진이 주둔하였으며‚ 세조 5년(1459)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한동안 유지되다가 다른 곳으로 옮겨감으로써 성만 남게 되었는데‚ 이를 ‘개운포성’이라고 불러왔다.
개운포성은 해변에 솟은 야산의 골짜기를 감싸 안고 쌓은 포곡식 성으로 둘레는 1‚270m 정도이다. 발굴조사 결과 북문지‚ 동문지‚ 서문지 등이 확인되었다.
성벽은 석축 구간과 토축 구간이 혼재되어 있으며‚ 바깥으로는 해자를 둘렀는데‚ 동문지와 북문지 사이가 가장 뚜렷하다.
석축 구간의 성벽은 기단부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큰 돌덩이를 세워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쌓았는데‚ 이러한 축조방법은 ‘울산 경상좌도 병영성’‚ ‘언양읍성’ 등 울산지역의 성에서는 흔히 보이지만‚ 여타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어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충청수영성(충남 보령)‚ 전라우수영(전남 해남)‚ 전라좌수영(전남 여수)‚ 경상우수영(경남 통영 및 거제)‚ 경상좌수영(부산) 등의 수영성터가 남아있으나‚ 이들 수영성은 후대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던 관계로 지금의 형태는 조선후기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운포성은 임진왜란 이전에 사용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조선전기 수영성의 구조와 특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성벽‧해자‧문지‧선입지 등 성곽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 또한 원형에 가깝게 남아있어 조선전기 수군성(水軍城)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개운포성이 조선전기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의 영성이었음에도 지역에 있는 병영성‚ 언양읍성 등에 비해 관심이 적었던 것이 사실이다”라며 “정비 사업을 통해 개운포성의
모습을 찾고 중요성을 알림으로써 군사‧지리적 요충지였던 울산에 대한 시민들의 자긍심도 높일
수 있고 인근에 위치한 처용암‚ 성암동 패총 등 주변의 문화재와 연계하여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또한 울산과학대학교 이철영‚ 이창업 교수도 “울산은 성곽의 도시라고 불릴 만큼 여러 유형의 성곽이 남아 있으며 언양읍성‧병영성 등이 복원 정비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군성인 개운포성의 정비는 울산의 성곽 문화에 대한 다양성과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울산시가 의지를 가지고 4단계에 걸쳐 지속적으로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문화도시 울산으로 나아가는데 매우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ulsan.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