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울산시‚ ‘2012 울산시민생활수준 및 의식조사’ 발표

추천0 조회수 6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울산시‚ ‘2012 울산시민생활수준 및 의식조사’ 발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2-10-2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타지역 이사 계획 ‘없다’지속 증가 … 시민 정주의식 크게 높아져
저출산 원인‚ 응답자 10명 중 8명 ‘경제적 부담’
2012 울산시민생활수준 및 의식조사 결과‚ 향후 3년 이내에 타 지역으로 이사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 전체 가구의 25.0%가 ‘있다’고 답한 반면‚ 75.0%는 이사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2006년 64.3%‚ 2009년 68.5%) 조사와 비교해 보면‚ 이사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해가 갈수록 시민의 정주의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울산시는 지난 5월 2일부터 7일까지(4일 간) 191개 조사구 3‚820가구(표본조사)에 대해 7개 부문‚ 59개 항목에 대해 실시한 ‘2012 울산시민생활수준 및 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2011년부터 4월 30일부터 2012년 4월 29일까지 대상기간으로 조사원이 대상가구를 방문하여 면접하는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95% 신뢰구간에 표본오차는 ±2.3%p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구․주택부문’을 보면‚ 조사 가구의 주택 점유 형태는 ‘자가’ 63.3%‚ ‘전세’ 15.3%‚ ‘보증부 월세’ 13.0%의 순으로 조사됐다.
저출산 현상의 주된 원인과 관련‚ 응답자의 절대다수인 80.9%가 ‘자녀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 과중’이라고 답했다. 지난 2009년(69.8%)에 비해서도 매우 높아진 결과이다.
‘소득․소비 부문’을 보면 지난 1년‚ 월평균 가구 소득에 대해 응답 가구의 23.8%가 ‘200~300만 원 미만’‚ 18.8%는 ‘100~200만 원 미만’이라고 답했으며‚ ‘700만 원 이상’이라고 답한 가구도 5.3%로 나타났다.
월평균 교육비는 조사대상가구의 13.6%가 100만 원 이상이라고 답했다.
‘정보 통신 부문’을 보면 응답자 중 53.3%가 스마트 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 89.7%로 10명 중 9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60대 이상은 6.5%에 불과했다.
월평균 통신비용은 10만 원 이하 42.9%‚ 10만원~20만 원 34.1% 등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부문’과 관련‚ 울산시의 사회복지 정책에서 우선 고려해야 할 대상으로 ‘노인’ 28.8%‚ ‘아동·청소년’ 26.6%‚ ‘저소득층’ 24.2% 순으로 응답했다.
울산시의 여성복지 향상을 위해 중점 추진해야 할 분야는 ‘여성취업에 관한 교육 및 알선’(37.4%)‚ ‘근로여성을 위한 영․유아 보육’ 28.6%‚ ‘여성보호시설 운영’ 13.7%의 순으로 조사됐다.
‘안전․공안 부문’을 보면 지역의 치안기관이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성폭행 및 가정파괴’ 분야라는 응답이 45.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절도’ 23.6%‚ ‘교통질서 문란’ 22.7%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조사(2006년 37.7%‚ 2009년 36.4%) 결과와 비교해 보면‚ ‘성폭행 및 가정파괴’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응답이 크게 높아졌는데‚ 이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각종 성폭력 문제에 대한 울산 시민의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보건 환경부문’을 보면 울산의 환경개선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환경보전 활동 참여 및 의식 개선’이 44.1%로 가장 많이 응답되었고‚ ‘공해배출업소 지도․단속 강화’ 22.8%‚ ‘기업의 친환경적인 경영’ 18.3%‚ ‘친환경적인 행정 구현’ 14.4%의 순으로 나타나 시민의 환경보전 활동참여 및 의식개선 항목의 응답비중이 지난 2006년(25.0%)‚ 2009년(24.8%)에 비해 20%p 가량 큰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여가 부문’을 보면 주말 또는 공휴일 여가 활용 방법으로 ‘TV 시청’이 48.5%로 가장 높았으며 ‘관광․등산’ 20.9%‚ ‘문화생활’ 9.4%‚ ‘운동’ 6.7%‚ ‘독서’ 4.7%‚ ‘낚시’ 1.7%의 순으로 나타나 지난 조사(2006년‚ 2009년) 결과와 비교하여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ulsan.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