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봄꽃 109만본 도심 가로변 장식

추천0 조회수 12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봄꽃 109만본 도심 가로변 장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0-03-03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농업기술센터‚ 3월8일~3월26일 튤립 등 9종 공급
울산시 농업기술센터(소장 김해상)는 2010년 꽃도시 울산 조성사업으로 태화들 일원과 시가지 가로변‚ 울산대공원 및 로터리 주변의 꽃 공원화 및 꽃길 조성을 위해 농업기술센터 초화 양묘장에서 생산한 봄꽃을 공급한다
고 밝혔다.
이번에 공급하는 봄 초화류는 튤립‚ 팬지‚ 라난큐러스‚ 크리산세멈‚ 금잔화 등 8종 109만본.
봄꽃은 3월8일부터 3월26일까지 구·군과 시설관리공단 및 유관기관에 공급될 예정이며‚ 특히 올해는 개화기간이 길고 꽃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라난큐러스‚ 오스테오스 펄멈 등 새로운 종류의 계절별 초화류를 새롭게 발굴하여 생산 공급함으로써
계절의 변화를 화사한 꽃과 함께 맞이할 수 있게 하여 시민들의 정서를 함양하고 가로변 등 도시환경을 보다 아름답게 가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기술센터는 지난해 남산로를 비롯하여 번영교 등 주요 8개 교량 꽃걸이 사업의 성공적 수행에 따른 시민들의 호응과 칭찬에 힘입어 올해에도 8개 주요교량 5‚270m에 웨이브 페츄니아 화분을 설치하고‚
울산시가 주관하는 각종 축제 등 행사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각종 초화류를 지원함으로써 환경도시 울산의 위상을 드높이고 시민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농업기술센터 양묘생산담당 박환정 지도사는 “꽃을 사랑하는 시민들의 마음이 우리가 사는 울산을 더욱 넉넉하고 풍요롭게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꽃 한포기마다 정성을 다하여 생산하고 있다.”며 “가로변에 조성돼 있는 초화는 울산의 도시 이미지를 평가받는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함부로 뽑거나 가져가서는 안된다.”고 품격 높은 시민의식을 촉구했다.
한편 농업기술센터는 초화양묘장 4만5‚000㎡(울주군 웅촌면 대대리)에 비닐온실 9동(1만6‚222㎡)에서 여름 2차례를 비롯해 봄‚ 가을‚ 겨울 등 계절별로 연간 5회에 걸쳐 연간 370여만본의 초화류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연간 계절별 초화류 생산계획을 보면 봄에는 튤립‚ 팬지‚ 라난큐러스‚ 크리산세멈‚ 금잔화 등 8종 109만본‚ 여름에는 1차로 페츄니아‚ 메리골드‚ 사루비아 등 15종 105만본‚ 2차로 베고니아‚ 한련화‚ 일일초 등 9종 45만2000본‚ 가을에는 국화‚ 맨드라미‚ 과꽃 등 11종 85만본‚ 겨울에는 꽃양배추와 파놀라 2종 38만본을 생산·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농업기술센터는 도로변 화단과 공업탑 및 로터리변 꽃동산‚ 시가지‚ 관공서 주변‚ 교통섬‚ 중앙분리대‚ 공한지 등지에 계절마다 초화류를 식재하여 직접 관리할 뿐만 아니라
태화들 꽃단지 조성을 위하여 가우라‚ 달맞이꽃 등 20여종 60만본을 식재 관리하는 등 연간 총 430만본을 생산‚ 공해도시에서 친환경 생태도시로의 도시 이미지를 개선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 초화 자체 생산에 따른 예산절감효과 분석 결과 지난해 생산·공급한 계절별 초화 375만본을 시중 화훼농가에서 구입할 경우 약 21억8000여만원의 예산(본당 580원)이 소요되나 농업기술센터는 초화양묘장에서 계절별 초화를 자체 생산공급하기 때문에 최소 생산비용(연간 8억2500만원)을 제외한 13억6000여만원의 예산을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로변과 교량 꽃걸이용 초화의 식재 및 관리사업도 자체인력으로 시행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인건비 절감효과도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ulsan.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