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제2회 세계 야생 동·식물의 날 기념사

추천0 조회수 17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제2회 세계 야생 동·식물의 날 기념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오늘은 유엔이 2013년 12월 20일 제68차 총회에서 다양한 생물종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 “세계 야생 동·식물의 날“로 정한 날입니다.
3월 3일을 야생 동·식물의 날로 정한 것은‘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일명 CITES* 협약이 1973년 3월 3일에 체결되었기 때문입니다.
* CITE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180개국 가입‚ 우리나라 1993년 가입)
우리의 소중한 이웃인 많은 동·식물이 멸종되고 생물다양성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국제사회는 CITES 협약을 체결하였던 것입니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의 급격한 감소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유엔은 2005년에 발간한 새천년 생태계 평가에서 생물종 멸종속도가 인류에 의해 100배 내지 1‚000배 빨라졌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제3차 생물다양성 전망보고서(UNEP‚ 2010년)는 지구상에 있는 야생 척추동물의 31%가 1970년 이래 멸종됐다고 밝혔습니다. 야생 동·식물이 사라져 가는 것은 단순히 우리 주변에서 하나의 생물을 더 이상 볼 수 없다는 아쉬움에 그치지 않습니다.
국가적으로나 지구적으로 큰 손실이며‚ 나아가 인류 생존 자체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인류는 동·식물을 통해 식량을 공급받고 있으며‚ 우리가 아플 때 복용하는 의약품의 46%는 생물자원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신종 플루와 같은 독감을 치료하기 위한 타미플루는 팔각회향이라는 열매에서 추출한 것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우선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을 집중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생물종이 멸종위기에 처하는 주요 이유 중의 하나가 서식지 파괴와 함께‚ 이러한 동·식물을 밀렵하고 불법적으로 거래하기 때문입니다. CITES 협약 사무국은 멸종위기종의 밀렵과 불법 거래가 중대한 범죄행위임을 알리기 위하여 올해의 슬로건(slogan)으로 야생 동·식물 범죄는 중대한 범죄입니다‘*로 정했습니다.
* Wildlife crime is serious‚ let's get serious about wildlife crime.
작년 제네바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야생 동·식물의 날’ 행사에서 반기문 UN 사무총장께서도 멸종위기종의 불법 밀거래는 부정부패를 조장할 뿐만 아니라‚ 국제 조직범죄‚ 심지어 테러리즘과 연관되어 있다고 지적하면서‚ 국제사회가 연대하여 야생 동·식물 밀거래에 강력하게 대처해 나가도록 촉구한 바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도 작년부터‘야생 동·식물의 날’을 기념하는 등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관계 당국과 협조하여 멸종위기 종인 상아‚ 호랑이‚ 악어 등 밀반입‚ 주목이나 웅담 등 밀반출을 적발하여 처벌하는 등 국제 밀거래를 차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야생 동·식물이 밀렵‚ 밀거래에 의해 희생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지자체‚ 국립공원관리공단 등과 밀렵 단속반을 구성하고‚ 야생생물관리협회 등 민간단체와 협조하여 밀렵‚ 밀거래를 단속하고 올무·창애 등 불법엽구 수거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반달가슴곰이 사는 지리산 피아골 일원에서 불법연구 수거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러한 불법엽구 수거 캠페인과 동시에 밀렵‚ 밀거래를 지속적으로 단속·적발하여 처벌하고‚ 벌칙도 강화하여 이를 근절시켜 나가겠습니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을 살리기 위한 복원 노력도 중요합니다.
환경부는 2004년부터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10년 넘게 진행하고 있으며‚ 여우‚ 산양‚ 따오기‚ 황새 등의 복원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에만 작년 말까지 156억원을 투자하여 36마리를 방사하였습니다. 야생에서 20마리 새끼가 태어나는 성과도 있었지만‚ 자연사하거나 올무에 걸려 죽은 곰도 있어 현재 35마리만이 야생에서 살고 있습니다. 숫자로만 본다면 지난 10년 동안 노력했음에도‚ 마이너스가 되는 초라한 중간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이처럼 한 번 멸종에 처한 생물을 복원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과 재원을 투자해야 하는 일인 만큼야생 동·식물이 사라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서 보호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노력은 우리 미래 세대들도 야생 동·식물과 공존하며 자연의 혜택을 충분히 누리는데 꼭 필요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야생 동·식물 보호를 위한 남다른 헌신과 공적으로 표창의 영예를 안으신 수상자 여러분께 그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리고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귀중한 시간을 내어 참석하신 환경가족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여러분 모두의 가정에 봄의 따스한 기운과 활력이 함께 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c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