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KSP 성과공유 세미나 개회사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KSP 성과공유 세미나 개회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1. 인사말씀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올해로 10회를 맞이하는 'KSP 성과공유 세미나'에 참석해 주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아울러‚ KSP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한국개발연구원‚ 산업연구원‚ KOTRA‚ 국토연구원‚ 한국수출입은행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수석고문 및 연구진 여러분의노고에 감사를 드립니다.
아무쪼록 오늘 이 자리가 KSP의 저변을 넓히는 동시에‚ 질적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의미있는 소통의 장이 되길 기대합니다.
2. 국제개발협력 환경 변화와 지식공유
내외 귀빈 여러분‚
올해는 새천년개발목표(MDGs)가 종료되고 향후 15년의 새로운 개발목표를 설정하는 중요한 해입니다.
새천년개발목표를 수립했던 2000년 이후‚ 국제개발협력 환경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인도 등 신흥공여국의 역할이 확대되는 한편‚ 대다수 선진국들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재정위기를 겪으면서 개발재원 다양화 등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15년간의 새천년개발목표 추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양극화가 심화되는 등 많은 개도국들은 극심한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지속가능한 자생적 성장"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며‚ 효과적인 非금융 개발지원 방안으로서 ‘지식공유’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식공유는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상호협력과 상생에 의한 경제성장을 도모하고‚ 협력대상국의 주인의식과 책임성을 고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개발협력 수단입니다.
성공 스토리뿐만 아니라 실패 교훈까지 서로 배우고‚ 이를 통해 스스로 필요한 정책을 결정하며 그 결과에도 책임을 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지식공유 선도기관인 OECD도 Post-2015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주요 과제로서 지식공유를 선정하였습니다.
3. KSP 성과와 발전방향
내외 귀빈 여러분‚ 올해는 광복 70주년을 맞는 뜻 깊은 해입니다.
한국은 지난 70년 동안 전쟁‚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경제대국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우리의 성공적인 발전 스토리는 고도성장과 분배‚ 고용창출이 균형을 이루는 포용성이 담보되었기에 더 의미가 있습니다.
이는 급속도의 경제성장 과정에서도 경제‚ 사회 분야 구조개혁을 게을리 하지 않았기에 가능했습니다.
한편‚ 우리도 과거의 성과에 자만하지 말고 스스로를 채찍질해야 합니다. 우리의 구조개혁 경험과 성과를 개도국에 전수하듯이‚ 우리 스스로도 ‘과거의 우리’로부터 구조개혁의 중요성을 배워야 합니다.
당면한 노동시장 개혁 등 구조개혁 과제를 완수함으로써 경제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고‚ 다음 세대도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식공유사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우리의 독특한 개발경험과 지식은 다른 여타 선진국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독보적인 개발 콘텐츠입니다.
또한‚ 여타 선진공여국에 비해 금융지원 규모가 작은 우리가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우위를 가지고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2004년에 시작한 KSP 사업은 그동안 국제사회 및 국내의 높은 관심 속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52개국 700여개 과제에 대해 정책자문을 실시하였고‚ World Bank‚ ADB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우리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도 기여하였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향후 KSP 사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첫째‚ KSP 사업 내실화를 통해 질적 도약을 이루어야 합니다. 전문 콘텐츠 개발 및 인력 양성‚ 사업추진체계 재정비를 통해 내실을 다져야 합니다.
둘째‚ 국내·외 전문기관과의 협력강화를 통해 KSP 저변을 확대해야 합니다. 국내외 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기업 등 민간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World Bank‚ ADB‚ OECD 등 국제기구와 선진국 양자기관 등과의 협력을 통해 KSP의 추진기반을 확충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KSP가 후속사업으로 연결되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개발협력 사업간 전후방 연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자문 결과가 협력대상국의 구체적인 정책으로 구현되거나‚ 후속 투자사업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정책자문의 질적 제고를 이루어야 합니다.
4. 마무리 말씀
존경하는 귀빈 여러분!
19세기 저널리스트인 마가렛 풀러(Margaret Fuller)는“당신에게 지식이 있다면‚ 다른 사람들도 당신의 지식을 이용하여 각자의 촛불을 밝힐 수 있도록 하라“고 (If you have knowledge‚ let others light their candles at it) 하였습니다. 저는 이 구절이 KSP가 추구하는 바를 적절히 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한강의 기적’을 이룬 한국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개발도상국들도 지속가능한 성장의 촛불을 밝힐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오늘 KSP 성과공유 세미나를 통해 지식공유협력이 개발협력 브랜드 사업으로 발전해 나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c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