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과 기업간 상생협력 성공사례 확산을 위한 설명회 개최!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과 기업간 상생협력 성공사례 확산을 위한 설명회 개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7-20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7월 20일(월)‚ 경북 의성(의성군 청소년센터)을 시작으로 농업-기업 상생협력의 전국적 확산을 위한 권역별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금번 설명회는 농업기업 상생협력의 이해도를 높이고 지역 농업계 기업간 참여 확산을 위해 식품외식업계에게 우수 농산물 등 식재료 생산 현장과 농업기업 상생협력을 통해 생산된 우수제품 전시장으로 초대하여 진행하였다.
○ 이번 지역 순회 설명회는 농식품 상생협력 공동 추진본부장인 이준원 식품산업정책실장을 비롯하여 김주수 의성군수·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 등 시·군 공무원‚ 식품·외식업계 바이어‚ 한국조리학회 회원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하였다.
□ 금번 설명회는 지난 7월 6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제 4차 핵심개혁과제 점검회의’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정부는 자유무역협정(FTA) 등 국제적(글로벌) 경쟁시대에 농식품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핵심과제로서 농업-기업의 상생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상생협력 성공사례의 전파 및 확산을 위해 권역별 설명회를 개최한다.
* 농식품 상생협력 추진본부 설립(대한상의‚ ‘14.9) : 농업과 기업계간 상생협력 사례 발굴 및 성과 창출 관련 지원
* 원료구매‚ 수출협력‚ 공동출자‚ 종자개발‚ 정보통신기술(ICT) 등 다양한 유형의 상생협력 업무협약(MOU) 사례 발굴(26건)
○ 경북을 시작으로 경남‚ 충남‚ 전남‚ 경기 등 전국 8개 권역에 순차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며‚ 오는 9월 10일 상생협력 경연대회를 통해 시·도별 성공사례 등 그간 성과를 집중 조명하고 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 금번 경북지역 설명회에는 한국조리학회 회원업소 및 서울·부산 우수외식업지구 등 약 100여명의 외식업계 구매자(바이어)와 쌀‚ 마늘‚ 양파‚ 장류 등을 생산하는 20개 업체가 참여한다.
○ 설명회는 원료농산물 직거래 설명회(Fair)‚ 롯데푸드·대상·CJ·SPC·영일기업 등의 경북지역 농업계와의 상생협력 우수사례 발표‚ 대한상의 상생협력 경영자문단의 현장 자문상담(컨설팅)‚ 의성군 내 우수 식재료를 전시하고 맛보는 식재료 품평회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 되었다.
□ 금번 행사에 참석한 의성군 마늘농가는 2005년 롯데와의 의성 마늘햄* 구매 협력을 계기로 의성마늘을 소비자들이 의성마늘을 국내 대표마늘로 인식하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 누적 판매량(‘06~’15p) : 5‚226억원(연평균 19% 성장) / 마늘구매량: 840톤
○ 단순히 마늘 관련 상품개발과 판매에 그치지 않고‚ 2010년부터 매년 ‘의성마늘햄 캠프’를 개최하여 마늘 캐기 체험‚ 의성군 여행(투어) 등 농업생산문화가 어우러진 6차산업화의 모범사례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밝혔다.
□ 또한‚ 청도군은 청도반시 생산량이 늘어(전년대비 30% 증가) 판로 확보 등 소비처가 없어 힘들어하던 중 기업(롯데칠성‚ 대상)과의 상생협력을 통해 ‘청도홍시’음료와 ‘감츄(감말랭이)’를 출시하였는데‚ 참살이(웰빙) 바람과 더불어 높은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특히‚ 금번 설명회에서 처음 소개된 포항시의 ‘죽장연(竹長然)’ 사례는 1사1촌으로 시작하여 상생협력으로 발전한 좋은 사례로 평가받았다.
※ 영일기업과 죽장면 상사리 마을의 상생협력 관계
- (1단계) ‘99년부터 일사일촌 운동을 통해 상생관계 형성 → 기업의 사회적 환원 활동(CSR) + 마을의 전통장류 선물
- (2단계) 기업의 전통장 제조사업 투자(시설구축 및 운영비용) + 상사리 주민의 전통기술 노하우 → 전통식품((주)죽장연) 확산
- (3단계) 기업의 물류 및 수출 비법(노하우) 활용‚ 기득권(프리미엄) 전통장의 이미지 구축 → 일본중국미국 수출 및 국내 백화점 입점(‘14: 28억원/수출액 44만불)
□ 농식품부 이준원 식품산업정책실장은 “현재의 상생협력은 사회공헌형원료구매형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향후 ㈜죽장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의 노하우와 유통망을 활용한 수출 협력형 등의 상생 본보기(모델)로 더욱 더 발전시켜 우리 농산물의 수요 기반을 넓히고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 또한‚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농업과 기업이 상호 상생(Win-Win)하는 모델을 계속 발굴하고‚ 지원해 나갈 계획이며‚ 작은 움직임이 큰 변화를 가져오는 나비효과처럼 기업들의 상생협력 참여가 점점 전국으로 활성화되어 우리 농업에 큰 힘이 될 수 있도록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