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2015년도 2분기 수입식물 병해충 검출 분석결과 발표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2015년도 2분기 수입식물 병해충 검출 분석결과 발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7-28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015. 7. 24. 올해 2분기 수입 농림산물(자몽‚ 라임‚ 버섯‚ 커피원두 등) 검역과정에서 검출된 병해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올해 2분기에 수입된 농림산물 1‚076천 건의 검역 결과‚ 병해충 2‚629건(379종)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농림산업과 자연환경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병해충 1‚594건(236종)에 대해서는 소독‚ 폐기 또는 반송 조치하였다.
2분기 병해충 발견 건수(1‚594)는 전년도 2분기(1‚278건)에 비해 24.7%가 증가하였다.
캘리포니아붉은깍지벌레(Aonidiella aurantii) 등 236종의 병해충은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외래병해충으로서 검역과정에서 소독‚ 폐기 또는 반송 되지 않았다면 국내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병해충 발견건수의 증가는 남아공산 화훼류‚ 태국산 과일채소류‚ 중국산 묘목류 등 수입식물 검역건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규제 및 잠정규제 병해충 검출률이 전년대비 크게 상승한 식물류는 묘목류[7.60%('14)→9.23%('15)]와 화훼류[2.95%('14)→5.37%('15)]였다.
국가별 병해충 검출건수는 중국‚ 미국‚ 태국‚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순이었다.
- 특히‚ 태국산 수입식물의 경우 태국음식의 지속적인 유행으로 두리안‚ 샬롯‚ 레몬그래스‚ 라임잎 등의 열대 과일 및 향신료 수입이 증가하면서‚ 2014년 72건에서 2015년 172건으로 139% 높아졌다.
* 태국산 식물 수입건수: ('14) 2‚253건 → ('15) 2‚772건
태국산 식물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깍지벌레류는 단단한 깍지형태의 껍질이나 가루형태의 밀랍 속에 숨어서 식물에 구침을 꽂아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농약을 직접 뿌려도 잘 죽지 않아 방제하기 어려운 해충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는 “동남아지역의 수입식물의 품목이 다양해지고 수량도 점점 증가함에 따라 열대아열대 외래병해충의 유입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하고‚ “식물방역법 제11조(수입제한) 및 수입제한조치 운영요령(농림축산검역본부 예규 제31호) 제2조(제한조치의 범위)에 따라 동일 국가품목에서 검역병해충이 다수 또는 반복적으로 검출되면 긴급 수입제한조치를 취할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정부3.0 정보공개 방침에 따라 농림축산검역본부 홈페이지 (www.qia.go.kr)에 본 분석결과를 공개하여 국내 식물검역 관련 민원인과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afra.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