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디브러리‚ 도서관의 편견을 깨다!

추천0 조회수 203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디브러리‚ 도서관의 편견을 깨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8-19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나는 현재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공익근무요원이다. 1년 넘게 도서관에서 근무를 했지만 나에게 도서관은 그저 지루하고 심심한 곳이었다. 이번 공모전을 계기로 디브러리에 가기 전까지는 그렇게 생각했었다.근무지를 도서관으로 선택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 사실 나는 도서관에 관심이 많다. 나의 소소한 취미 중 하나는 수도권 대학교의 도서관에 직접 찾아가는 것이다. 그런데 아쉽게도 내가 탐방한 10여개의 대학 도서관 중 명지대학교 도서관을 제외한 나머지 도서관은 허울만 좋은 재미없는 도서관이었다.
그 날 나는 향기로운 꽃향기를 맡으며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에 도착했지만 마음 속으로는 이렇게 중얼거렸다. ‘흥! 너도 어차피 그저 그런 지루한 도서관이겠지.’ 하지만 그것은 나의 엄청난 착각이었다. 디지털도서관은 어린 시절부터 내가 상상하고 동경해 온 ‘재미있는 도서관’ 바로 그것이었다. 디지털도서관에 도착하자마자 주체할 수 없는 호기심과 흥분이 일었다. 퀄리티 높은 시설과 시스템‚ 훌륭한 문화시설 등이 짜릿한 쾌감을 느끼게 해 주었다.세상은 변하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도서관 역시 진화하고 있었다. 디브러리에 입장할 때는 차원이 다른 곳에 왔다는 위압감마저 느꼈다. 입장부터 타도서관들과 달랐다. 가방을 반입하러 보관실에 들어갔을 때도 열쇠가 아닌 열람증과 컴퓨터로그인을 통해 물건을 손쉽게 맡길 수 있었다. 실제로 내가 도서관에서 근무하면서 보았지만 도난사고가 종종 일어난다. 하지만 이곳이라면 맘 편히 내 짐을 맡길 수 있다는 안도감이 들었다.도서관 내부 역시 감탄을 불러일으켰다. 이색적인 디자인과 넓은 열람실‚ 당장이라도 책을 읽고 싶은 욕구가 생겨서 어느새 내 손에는 3권의 책이 들려 있었다. 또한 여러 신문들과 잡지를 터치스크린만으로 손쉽게 읽을 수 있었다. 조용한 도서관에서 종이 신문을 넘기면 소음이 생길 수밖에 없고 예민한 사람들에겐 그 소리마저 스트레스가 되는데 여긴 디지털신문대가 있어 아무 문제가 없는 듯 했다.두 번째로 나를 놀라게 한 광경은 수많은 컴퓨터들이었다. PC방에 온 것 같다는 착각이 들 정도로 수많은 컴퓨터들이 있었다. 또한 학교도서관에나 볼 수 있는 DVD감상실과 TV감상실까지 있었다. 직장인 같아 보이는 분들이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회의를 하는 세미나실도 있었다. 게다가 빔프로젝터까지! 여기야말로 공동 스터디나 회의를 하기 위해 장소를 찾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반길 만한 오아시스 같은 곳이다. 점점 아드레날린이 팽창했다. 도서관에서 회의나 스터디를 하기엔 번거로운 점이 있는데 언젠가 꼭 이곳에서 마음맞는 사람들과 스터디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또한 방송국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미디어영상편집실‚ UCC 스튜디오까지! 없는 것이 없다. 내가 찾던 도서관은 바로 이런 곳이었다. 번거롭게 대학도서관까지 갈 필요가 없는‚ 남녀노소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는 이런 도서관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뿐만이 아니라 도서관 근처엔 다양한 문화시설들이 많았다. 데이트를 해도 좋을 만큼 너무나 멋진 풍경이다. 언젠가 여자친구가 생기면‚ 꼭 이 도서관에 손잡고 같이 와 보고 싶다.나는 한국에 이런 도서관이 있다는 게 너무나 자랑스러웠다. 그리고 이런 곳이 있다는 걸 너무 뒤늦게 알게 된 것이 부끄러웠다. 비유하자면 고등학교 때 서울대 정문을 본 느낌이랄까. 그 정도의 높은 수준과 스케일을 가지고 있는 곳이 바로 디브러리‚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이다. 한국 축구에 박지성이 있고‚ 한국 스케이트의 대표가 김연아라면‚ 한국을 대표하는 도서관은 바로 디브러리라고 말하고 싶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nl.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