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김수용 감독의 1965년작 <저 하늘에도 슬픔이> 발굴&sbquo; 수집

추천0 조회수 59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수용 감독의 1965년작 <저 하늘에도 슬픔이> 발굴&sbquo; 수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04-2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전국을 눈물바다로 만든 1965년 최고흥행작 찾았다 한국영상자료원‚ 김수용 감독의 1965년작 <저 하늘에도 슬픔이> 발굴‚ 수집 오는 5월 “한국영상자료원 창립 40주년 기념영화제”에서 일반에 공개 한국영상자료원(원장 이병훈)은 필름이 유실되어 그동안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던 김수용 감독의 1965년작 <저 하늘에도 슬픔이>(흑백‚ 듀프 네거티브)를 발굴‚ 수집했다. 당시 신문기사에 따르면‚ <저 하늘에도 슬픔이>는 1965년 국제극장에서 개봉해 서울 관객 28만 5천 명을 동원하며 그 해까지 한국에서 제작된 영화 중 <성춘향>(신상옥‚ 1961‚ 컬러영화‚ 38만여 명 동원)에 이어 역대 흥행 2위(흑백영화 흥행 역대 1위)를 기록한 작품이다. 이 영화의 흥행으로 국내에서는 아역 주연의 실화극 제작이 붐을 이루는 등 <저 하늘에도 슬픔이>는 1960년대를 대표하는 영화 중 한 편이지만만 안타깝게 필름이 유실되어 그 동안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 영화의 발굴은 한국영화사의 매우 중요한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 하늘에도 슬픔이>는 어떤 영화인가? 신필름이 제작한 <저 하늘에도 슬픔이>는 1965년 서울의 국제극장 개봉을 시작으로 서울에서만 28만 5천 명이 관람하며 1965년까지 개봉한 한국영화 중 1961년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컬러영화)에 이어 역대 흥행 2위를 기록했다. 이 영화는 대구 명덕초등학교 5학년 이윤복 어린이가 쓴 동명의 수기를 선생님이 출판하여 국내에서 베스트셀러가 된 일련의 과정을 영화화한 작품이며‚ 신영균‚ 조미령‚ 주증녀‚ 황정순 등 당대 스타 뿐 아니라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신상옥‚ 1961)에서 옥희 역으로 전 국민의 사랑을 받은 아역배우 전영선과 성인배우 못지않은 감정연기를 보여준 김천만이 출연하여 더욱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영화의 흥행은 배우와 감독에 대한 관심으로도 이어졌는데‚ 이 영화의 주연을 맡았던 아역 김천만을 두고 언론은 ‘어른 뺨칠 명연’을 보여준 유망주라고 소개하였고 이후 여러 영화에서 주연을 맡으며 대표적인 아역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김수용 감독은 이 영화의 성공으로 ‘김수용 최고의 해’‚ ‘논픽션 수기 붐‚ 새 경지 이룬 개척자’라는 평가를 받으며 신상옥‚ 이만희 감독 등과 더불어 1960년대 한국영화의 르네상스를 이끈 대표 감독임을 재확인했다. <저 하늘에도 슬픔이> 발굴 및 수집 경위 <저 하늘에도 슬픔이>는 한국영상자료원이 설립(1974‚ 설립 당시 ‘한국필름보관소’)되기 10년 전 제작된 영화로‚ 영화필름 보존에 대한 인식이 미약했던 당시 환경에 의해 극장개봉 이후 필름이 유실된 수많은 영화 중 한편이었다. 한국영상자료원은 이 영화가 당시 대만에 수출되었다는 기록을 기반으로 2004년부터 지속적으로 대만영상자료원과의 협력을 통해 필름의 존재여부를 조사했지만 아쉽게도 성과를 보지 못했다. 그리고 2013년 9월 ‚ 트랜스아시아영상문화연구소(소장 김소영‚ 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의 김소영 소장이 한국연구재단‚ 토대기초연구 지원 한국영화사 연구 총서 (사업번호 NRF-2012S1A5B4A01035829)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대만영상자료원을 방문(1차 방문 2013년 9월 17일~20일 / 2차 방문  2014년 1월 6일 ~ 1월 10일 )‚ 조사하는 과정에서 <저 하늘에도 슬픔이>의 수출 당시 제목 <추상촌초심(秋霜寸草心)>으로 조사한 결과 이 영화가 동명의 중국영화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한국영상자료원은 김소영 소장의 제보를 받은 후 대만영상자료원으로부터 동 영화의 타이틀과 오프닝 크레딧을 전달 받았고‚ 자체 조사 결과 이 영화가 김수용 감독의 <저 하늘에도 슬픔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영상자료원은 지난 3월 이 필름(듀프 네거티브)를 대만영상자료원측으로부터 대여 받아 보존용 프린트(필름)를 제작하고‚ 영상 및 사운드에 대해 기초 복원작업을 거쳐 활용용 디지털 시네마(DCP)로 제작했다. 다행스러운 점은 보통 중국어권으로 수출되는 영화는 대체로 중국어로 녹음된 프린트 필름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영화는 한국어 사운드를 그대로 보존한 채 중국어 자막이 삽입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영상 뿐 아니라 한국어 사운드와 음악까지 원본 그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제1유형:출처표시 (출처표시/상업적‚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oreafilm.or.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