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국내 기술로 키운 돼지 9종 국제기구에 등재

추천0 조회수 6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국내 기술로 키운 돼지 9종 국제기구에 등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12-18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농촌진흥청은 국내 기술로 육종‚ 보존한 돼지 9종을 국제식량농업기구(이하 FAO)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에 우리 이름으로 등재한다고 18일 밝혔다. 품종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소비자 입맛에 맞게 개량한 ‘우리흑돈’‚ 농협종돈사업소와 (주)다비육종에서 개량한 ‘돼지 6품종’‚ (주)메디키네틱스에서 개량해 온 ‘미니돼지 2계통’ 총 9종이다. ‘우리흑돈’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보존 중인 토종 재래돼지와 축진듀록을 계획 교배해 재래돼지 고유의 맛은 유지하면서도 성장 능력을 보완한 돼지다. 농협종돈사업소와 (주)다비육종의 돼지는 수입 품종을 각각의 사업 목표에 맞춰 10년 이상 독자적으로 개량한 것이다. 도입 당시보다 새끼 수가 늘고 90kg 도달일령이 짧아지는 등 경제성을 갖췄다. 농진청이 수행하는 골든시드프로젝트)에 참여해 국내 육성 품종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주)메디키네스틱의 마이크로돼지는 지난 2003년 국내에 도입해 의료용 실험동물로 개량한 것으로 체중은 30~50kg 정도이며 주로 인간의 치의학‚ 피부학‚ 골격학 연구에 사용해 왔다. FAO는 동물유전자원의 다양성 유지와 지속적 이용을 위해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각 나라의 가축유전자원 등재와 자료 보완을 주기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시스템에는 197개 회원 나라의 39개 축종 1만 4877종이 등재돼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에서 보존·육성한 소‚ 돼지‚ 닭 등 15축종 90종을 등재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전문가 심의를 통해 자원의 도입과 육종에 관한 사항‚ 일반적인 특성 등 14개 항목을 검토하고 특히 국내 개량 활동을 중점적으로 검증해 등재를 결정했다.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조영무 센터장은 “이번 등재는 외국품종을 도입해 국내 기술로 육종했지만 품종의 권리를 주장할 만한 특성을 갖췄다고 인정받은 것에 의미가 있다”며 “재래가축 뿐 아니라 독자적으로 개량한 품종의 국제 주권 확보를 위해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 063-620-352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c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