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판교·상암에 아시아 최고 창업·문화콘텐츠 허브 구축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판교·상암에 아시아 최고 창업·문화콘텐츠 허브 구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1-18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판교와 상암에 아시아 최고의 창업·문화콘텐츠 허브가 구축된다. 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협력 모델을 확산한다. 창업비용을 최소화하고 기술창업을 확대하는 등 쉽고 질 높은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진다.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에서 열린 경제관련 2번째 업무보고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재배포금지)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열린 2016년도 업무보고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미래부의 올해 업무계획은 ‘지속 가능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모든 참여 주체가 혜택을 누리는 창조경제혁신센터 구현 ▲고용존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 ▲창조경제 글로벌 진출·교류 촉진 ▲쉽고 질 높은 창업 지원 ▲창업기업의 성장 지원 ▲도전과 성공에 대한 정당한 가치 보상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핵심인재 양성 ▲R&D 혁신 가속화로 성장기반 마련 ▲ICT 산업 성과 창출과 융합 확산을 통해 성장동력 확충 등의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미래부는 우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신제품을 개발하고 이익을 공유하는 상호 윈-윈 모델을 확산시켜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 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전략산업에 대한 민간투자를 촉진하고 규제프리존을 활용한 시범·실증사업 등 지역과 함께하는 혁신을 추진한다.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오는 4월까지 ‘고용존’ 구축을 마무리해 지역 고용 네트워크의 허브 역할 을 수행하기로 했다.  ‘고용존’은 일자리–청년인재를 연결하는 일자리 중매자‚ 취업 기초체력을 배양하는 취업 트레이너‚ 지역전략산업을 위한 인재 인큐베이터의 역할을 맡게 된다. 이와 함께 판교와 상암에 아시아 최고 창업·문화콘텐츠 허브를 구축하고 문화적 요소와 결합하기로 했다.   판교 창조경제밸리에 이어 상암을 디지털문화콘텐츠 산업거점으로 조성하고 문화창조융합벨트와 연계해 유통·소비·체험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상암 밸리에는 올 하반기에 한류행사 등과 연계해 우수벤처·중소기업 해외 시장진출 로드쇼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창업비용을 줄이고 진입장벽을 낮춰 쉬운 창업환경을 만들고 기술창업을 확대해 질 높은 창업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창업선도대학 등을 통해 기술창업자와 공공연구성과 기반 창업기업도 확대한다. 자금·기술·인력 등 창업기업이 성장하는데 필수적 자원들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벤처·중소기업의 취약점인 홍보·유통 지원을 위해 혁신센터 전담대기업과 공영홈쇼핑 등을 활용한 유통 플랫폼을 강화한다. 피인수기업 중소기업 졸업 유예와 상장제도 합리화 등으로 M&A‚ IPO를 활성화한다. 실패 기업인도 쉽게 재도전 할 수 있도록 창업 5년이내 기업의 연대보증을 전면 면제하고 재도전지원센터를 올해 7개소로 확대한다. 미래부는 과학기술원 혁신전략을 타 대학에 전파·확산하고 창업‚ 산학협력‚ 전공역량강화를 중심으로 하는 ‘2016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초중등·대학의 SW 교육강화‚ 실전형 사이버보안 훈련장(Security-GYM) 구축‚ ICT 학점이수 인턴제 등을 추진한다. 정부-민간의 역할 분담에 따라 재난·안전 등 민간이 소홀히 할 수 있는 분야에 정부 R&D역량을 집중하고 연구몰입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최대 10년간 기초연구 지원‚ 평가·보고서 등 각종 행정부담을 완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기후변화‚ 바이오‚ 거대과학(우주·원자력) 등 미래 유망분야의 원천기술 선점을 위해 민간·공공 협동으로 R&D·사업화 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문화-ICT 융합 플래그십 프로젝트(차세대 게임·ScreenX·테마파크)와 SW융합 프로젝트(조선·해양‚ 의료) 등 ICT 융합을 확산할 방침이다.  또 지능정보기술로 ICT 산업을 업그레이드하고 범정부·사회전반에 스마트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국가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c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