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한수원‚ 「 원전 기자재 추적관리시스템 」 구축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수원‚ 「 원전 기자재 추적관리시스템 」 구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3-02-14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한수원‚ 「 원전 기자재 추적관리시스템 」 구축 - 원전 기자재의 효율적 관리 및 무단반출 방지 -   한수원 납품비리‚ 꼼짝 마! 원전에 사용되는 기자재‚ 입고에서 폐기될 때까지‚ 끝까지 추적한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 사장 김균섭)은 최근 납품과 관련한 일련의 비리사건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원전기자재 추적관리 IT시스템’을 도입‚ 모든 기자재의 입고에서 부터 출고‚ 사용‚ 폐기 및 반출에 이르기까지 투명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원전기자재 추적관리시스템은 최신의 RFID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된 것으로서기자재 표면에 일련번호(QR코드)와 식별표를 부착시켜‚ 입고에서 폐기 및 반출 될 때까지 모든 이력을 한 눈으로 철저히 감시‚ 통제하는 시스템이다.   한수원은 원전 기자재를 무단으로 반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 2012년 5월부터 이들 시스템 개발에 착수하여 9개월 만에 본 추적관리시스템을 완성‚ 전 원전에 적용케 됐다.   이로써 한수원은 그 동안 독립적으로 운영해 왔던 자재관리시스템 및 정비관리시스템‚ 일반폐기물관리시스템‚ 기자재 반출입 통제관리시스템 등을 서로 연계해 공통망으로 구축하여 자재창고 외부까지 통제범위를 넓혀 합리적인 원전기자재 관리에 들어가게 됐다고 밝혔다.   김균섭 한수원 사장은 원전 기자재의 입고부터 반출까지 이어지는 모든 단계의 자재흐름을 손쉽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돼 “완벽한 기자재 Total Life Cycle 관리가 가능하게 됐다”고 말하며‚ “투명하고 철저한 자재업무 관리로 그 간 문제된 납품비리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안전하게 원전을 운영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현장 보관중인 기자재의 납품비리 사례> ○ 사례 1   현장에서 보관중인 자재인 중고 부품을 업체에 무단 반출하고‚ 업체는 중고품을 도색 후 조립하여 신품으로 위장‚ 납품함 ☞ 수리를 위해 발전소 현장에 보관중이거나 수리를 완료하고 설치 대기중인 기자재에 대해서도 영구추적태그를 부착하여 외부 반출입을 통제하고 “기자재추적관리시스템”을 신규로 구축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토록 하였고‚ 아울러 자재관리부서는 주기적(매월)으로 기자재 재고실사를 실시하도록 하였습니다. ○ 사례 2    현장에서 보관중인 외국업체의 밀봉유니트를 제품 매뉴얼과 함께 업체에 무단 반출하고‚ 업체는 이를 기초로 복제품을 생산해 납품함 ☞ 발전소에서 외부로 반출되는 모든 기자재는 반출입 승인 및 “반출입통제관리시스템”으로 이력관리 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며‚ “문서관리시스템” 대한 접근제한 및 접속이력을 관리하여 문서보안을 한 층 강화하였습니다. ○ 사례 3   현장에서 보관중인 비상디젤발전기 전자회로 기판을 업체에 무단 반출하고‚ 업체는 이를 신품으로 위장‚ 납품함 ☞ 발전소 현장에 보관중인 전자회로기판에 대해서도 “기자재추적관리시스템”과 “전자회로기판 정비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이력 추적 뿐만 아니라 정비이력까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여 기자재 무단반출 및 신품위장납품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였습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khnp.c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