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윤효각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윤효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7-2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윤효각 호 : 복초/정암 활동시기 : 조선시대 본 관 : 영천 상세설명 자는 복초(復初) 호는 정암(正庵) 또는 침천재(枕泉齋)라 하며 본관은 영천(永川)이다. 학신(學莘)의 아들로 태어났다. 귀와(龜窩) 김(金)선생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는데 학문을 좋아하여 침식을 잊을 때가 있었다. 효성이 지극하여 과거보는 목적을 부모를 기쁘게 해 드리는데 있다 하고 "어버이를 섬기는 날은 얼마 남지 않았고 임금을 섬기는 일은 앞날이 많다"라고 하였다. 1861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文院副正字)로부터 승문원 저작‚ 봉상 시직장 승문원 박사. 병조 예조 좌랑 역임하고 전주조경묘령(全州肇慶廟令)에 제수되어 부임하니 이느 사당(飼堂)에서 주는 녹(祿)을 받아 어버이 섬기기 위함이 었으므로 더 높은 벼슬을 구하지 않으려 했다. 여가를 틈타서 후진 양성에 힘쓰니 영남 호남 선비들이 많이와서 배움을 청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