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정서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7-2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정서 활동시기 : 조선시대 상세설명 진양인(晋陽人) 은열공(殷烈公) 관정(官亭)선생 신열(臣烈)의 후예로 1528년(중종 23년)에 태어났다. 공(公)의 부(父)는 월담 사현(師賢)선생이고 어머니는 정열부인(貞烈?人) 창녕조씨이며 문정공(文貞公) 남명(南冥) 조선생(曺先生)이 외숙(?叔)이다. 이와 같은 가문에 태어나니 어려서부터 가훈(家訓)에 순종하여 세상사람보다 달랐고 외숙(?叔)인 남명조선생의 문하에서 경의지학(敬意之學)을 수학(修學)하니 이십세 전부터 지혜와 용맹이 남달리 특출하여 척당인 이조판서 이준민(李俊民)이가 벼슬할 것을 권했으나 마다했다. 한번은 공이 외숙 조식(曺植)선생을 모시고 양전동 송암정사(松菴精舍)에 다녀오는 길에 조선생이 동헌(東軒)쪽을 부채로 가리우고 월담정으로 왔는데 이 소식을 들은 친우인 본고을 현감 이희안(李希顔)이 듣고 왜 과문(過門)했느냐 하니 조선생이 답하기를 [탐관오리는 소인의 길이라]했다. 현감이 그말을 듣고는 직(職)을 지릿재(고령과 합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