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정옥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7-2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정옥 호 : 자성/우천 활동시기 : 조선시대 상세설명 자는 자성(子成)‚ 호는 우천(牛川)이고 본관은 청주(?州)이다. 동추(同樞) 정제(鄭濟)의 아들로서 1694년(숙종20)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용기와 기지가 있었으며‚ 권두경(權斗經)의 문하에서 공부하고‚ 1725년(영조1) 진사(進士)에 올랐으며‚ 1727년(영조3) 문과에 급제하고‚ 대열(臺閱)에 있어서 사무를 조진하였고 옳은 말을 잘하며 이해를 멀리하였기 때문에 영조께서 칭찬하며 말씀하시기를 "대신(臺臣)이 풍채가 당당하구나"하였다. 또 오광운(吳光運)도 그의 공평 무결함을 높이 치하하였다고 한다. 권상일(權相一)이 승지(承旨)로서 입시하였을 때 왕이 영남인의 인물들을 물었는데 상일이 답하기를 "종옥(鄭?)은 천자(?資)가 도(道)에 가깝고‚ 담연무욕(?然無欲)하며‚ 거관(居官)에 청신(?愼)하므로 도처에서 치성(治聲)을 듣고 있으니 마땅히 영남인의 첫째가는 인물이올시다."라고 하니‚ 왕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