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정한조(鄭漢朝)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한조(鄭漢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7-2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정한조(鄭漢朝) 활동시기 : 조선시대 본 관 : 동래(東萊) 출생시기 : 1835 출 생 지 : 1835 시대 : 조선시대 상세설명 자(字)는 유량(幼良). 서울출신. 부사 세화(世華)의 아들이다. 아버지로부터 칠서(七書)를 배운 뒤 1861년(철종 12) 정시문과에 급제‚ 이듬해 초에 홍문관에 등용되었으며‚ 그 뒤 승정원의 가주서를 지냈다. 1898년 비서원승(비書院丞)을 지냈고‚ 그 뒤 판서를 여러 차례 역임하였으며‚ 장례원경(掌禮院卿)·내장원경(內藏院卿)·의정부참찬·문관전고위원(文官銓考?員)‚ 각 부의 관제조사위원‚ 내각의 부동산법조사위원을 역임하는 등 고종 때는 특히 신임을 받아 대기(?機)에 간여한 바 있는 중신이 되었다. 그밖에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을 네 번이나 역임하였으며‚ 평안도관찰사‚ 그 뒤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이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그리하여 한운야학(閑雲野鶴)으로 세월을 보냈으나 1910년 나라를 일본에 강제로 빼앗겼을 때 그는 회유차 일본 정...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