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2013년 5월 독립운동가 석주(石?) 이상룡(李相龍)

추천0 조회수 11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2013년 5월 독립운동가 석주(石?) 이상룡(李相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2013년 5월 독립운동가 석주(石?) 이상룡(李相龍) 공적개요 성 명 : 석주(石?) 이상룡(李相龍)‚ 안동 생몰연도 : 1858~1932 주요공적 - 1905년 대한협회 안동지부 조직‚ 협동학교 설립 - 1909년 만주지역 민주정부와 군관학교 설치 - 1912년 교포들의 자치기관 부민단 조직 - 1918년 대한독립선언서 서명 발표 훈 격 : 건국훈장 독립장(1962년) 공적요약서 공적상세설명 포토갤러리 공적요약서 이상룡은 1858년 안동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상희(象羲)‚ 호는 석주(石?)이며‚ 만주에 망명하면서 상룡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김흥락을 스승으로 모시고 학문을 익힌 그는 1895년 의병이 일어날 때 상을 치르느라 직접 의병에 뛰어들지 못하고 의병장인 외숙부 권세연을 도왔다. 1905년 외교권을 빼앗기자 그는 의병에 직접 나섰고‚ 가야산 기슭에 의병기지를 건설하려고 거금을 투입했지만 일본군의 공격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1908년부터 그는 서양의 서적들을 읽으며 혁신유림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안동 내앞마을에 세워진 협동학교를 지원하고‚ 1909년 대한협회 안동지회를 만들었다. 그는 대한협회 안동지회를 국민이 모인 정당으로 해석하고‚ 나라의 주인이 민이라는 사실을 천명했다. 그리고서 안동 청년들을 모아 정치운동을 펼치다가 구금되기도 했다. 나라가 망하자 그는 혼인으로 연결된 가문을 이끌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서간도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독립운동 조직인 경학사의 초대 사장에 뽑힌 그는 남만주 서간도 지역 독립운동계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신흥강습소를 열고 이를 신흥무관학교로 발전시켰다. 동포들이 만주족의 간섭 속에서도 살아갈 수 있도록 중국 당국과 협상하고 만주의 옛 주인이 한민족임을 밝혀 자긍심을 갖도록 만들었다. 그는 경학사만이 아니라 다양한 조직을 만들어 동포사회를 만들고 독립운동의 교두보를 확보해 나갔다. 광업사(廣業社)‚ 자신계(自新?<) 등이 그런 조직이고‚ 부민단(扶民團)은 형식적으로 자치정부의 형태를 지녔다. 이것이 1919년 3.1운동 후 한족회로 확대 발전하였다. 한족회는 민정기관이고‚ 이때 만들어진 서로군정서는 군정기관이었다. 이러한 그의 노력과 능력은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초대임시대통령 이승만을 탄핵시키고 개헌하여 국무령제를 채택했을 때‚ 이상룡을 초대 국무령으로 추대한 배경이 되었다. 하지만 한번 기울어버린 임시정부를 쉽게 되살리기 어려웠고‚ 이상룡은 1926년 2월 국무령 자리를 물러나 만주로 돌아왔으니 69세 고령이었다. 그리고서 6년 지난 1932년 5월 12일‚ 그는 길림성 서란현 소과전자에서 75세에 순국하였다. 이상룡의 삶은 두 가지 면에서 특징을 가진다. 하나는 사상적인 면에서 보수성과 진보성을 아우른다는 점이다. 전통유림으로 성장하였지만‚ 혁신유림으로 전환하여 진보성을 보였고‚ 만주에서는 마르크스의 이론마저 공자의 대동사회로 해석하여 민족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따라서 독립운동계가 좌우 분화로 고민할 때 그는 오히려 통합의 길을 제시하였다. 둘째‚ 그는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민족의 제단에 바쳤다. 최고의 수준에 이른 학문과 많은 재산‚ 가족들의 편안한 삶도 모두 한 순간에 다 버렸다. 오로지 나라와 겨레를 위한 길에 모든 것을 바친 것이다. 가진 자‚ 배운 자의 역사적 책무를 말하려면‚ 석주 이상룡의 삶에 꼭 견주어 보아야 할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