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김생(金生)

추천0 조회수 96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생(金生)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김생(金生) 활동시기 : 삼국시대 시대 : 711~791 상세설명 신라 후기 최고의 명필‚ 자는 지서(知瑞)‚ 별명은 구(?)‚ 일생을 서예에 바쳤으며‚ 예서체 및 초서에 능하여 '해동의 서성(書聖)'이라 칭했다. 송나라에서도 왕희지(?羲之)를 능가하는 명필로 알려졌다. 그의 필적으로는 현재 경복궁에 있는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子四朗空?師白月栖雲塔碑))가 있다. 이 비의 비문 글씨는 954년(고려 광종 5년)에 승려 단목(端目)이 김생의 행서를 집자(集字)한 것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유행한 왕희지‚ 구양순류의 단정하고 미려한 글씨와 달리 활동적인 운필로 서가(書家)의 개성을 잘 표출시키고 있다. 또한‚ 짜임새나 획의 처리에 변화를 줌으로써 틀에 박힌 글씨에서 벗어나 운치를 살리고 있다. 그의 유일한 서첩으로 '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가 있으며‚ '해동명적(涇東名蹟)'·'대동서법(?東書法)'에 몇 점이 실려있다. 특히‚ '여산폭포시(廬山瀑布詩)'는 자유분방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필적이다. 이밖에 '창림사비(昌林寺碑)'가 있는데‚ 현재 원비는 물론 탁본조차 전해지지 않는다. 작품으로는 '백률사 석당기(柏栗寺 石幢記)'(국립경주박물관 소장)‚ '구례 화엄사 화엄경 석각(石刻)'‚ '금강산 유점사 편액' 등을 남겼다.(삼국사기‚ 동국문헌필원편‚ 조선금석총람‚ 김생(양주동‚ 한국의 인간상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