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득통선사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득통선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득통선사 호 : 함허당 활동시기 : 조선시대 상세설명 속성은 유(劉)씨로 충청북도 중원(中原)이 고향이며‚ 법명은 기화(己和)‚ 볍호는 득통(得通)이며‚ 함허당(?虛堂)은 거실의 당호이다. 1376년(우왕 2년)에 출생하여 1433년(세종 15년)에 입적하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서 시문에 능하였으므로 신동이란 이름이 높았다. 21세에 동문수학하던 친구가 젊은 나이로 죽가‚ 그는 세상의 무상함을 절실히 느끼고 무작정 집을 떠나 관악산 근처에서 스승을 따라 의상함에서 삭발을 했다. 1397년(태조 6년)에 경기도 양주에 있는 회암사(檜岩寺)로 가서 무학선사에게 묘법을 배웠고 1406년(태종 6년) 사불산 대승사에서 4년간 머물면서 세 번이나 반야경을 강설하였다. 그 뒤 천마산 관음굴에서 크게 진작시키고 다음해 불희사에서 3년간 안거하면서 낡은 가람을 중수하여 선풍을 떨쳤다. 1413년 편산 연봉사에 한 작은 방을 얻어 이름을 함허당이라 하고 여기에서 3년을 정진하여 이로부터 그를 함허라고 부르게 되었다. 대승사에서 연봉사에 이르기까지 10년간에 원간경소 세권‚ 반야경오가설의 한권‚ 현정론 등의 저술을 남기고 1421년에 왕명에 의하여 개성 대자사에서 대비의 명복을 빌고 세자와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종풍을 선양하는데 전력을 기울였고 1431년에 봉암사에 와서 사우를 중수하고 학중을 맞으니 그의 이름을 듣고 운집하는 대중이 수 백이 넘었으며 1433년에 입멸하여 경내에 부도가 있다. 그의 시 한수를 소개해면‚ 山?谷密 無人到 산곡은 깊고깊어 오는이 없고 盡日寥寥 絶世緣 왼종일 고요하여 세연을 끊었네 晝則閑者 雲出岫 낮에는 산머리의 구름을 보고 ?來空見 月堂? 밤이면 중천에 뜬 달만 보네 爐間馥馥 茶烟氣 화로에 향내는 차불 연기가 堂上氣氣 ?篆煙 마루위에 아람답게 전자 그리네 不?人間 喧擾事 인간의 시끄러움 꿈꾸지 않고 但將禪? 坐經年 언제나 선열로 세월 보내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