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반우형

추천0 조회수 7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반우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반우형 호 : 문보/옥계 활동시기 : 조선시대 상세설명 선생의 휘는 우형(佑衡)이요. 자는 문보(文甫)요. 호는 옥계(?溪)이고 거제부원군(巨濟府源君) 반부(潘阜)선생의 후예로 반조(潘 )선생의 아들로서 본관은 기성(岐城)이며 조선시대 문신이다. 선생은 한훤당 김굉필(寒暄堂 金宏弼)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1474년(성종5년)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검열(檢閱)이 되고 1486년(성종 17년)에 지평(持平)을 거쳐 1493년(성종 24년)에 수장령(守掌令)에 오르고 이듬해 사성(司成)이 되어 각지 명산대천에서 사직(社稷)의 복을 기도하는 사신으로 뽑혀 양진(楊?)에 파견되었다. 1495년(연산군 1년)에 사간(司諫)에 오르고 대사성(?司成)이 되고 1504년(연산군 10년)에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를 거쳐 대사헌(?司憲)등을 지내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 파직 당했으나 다시 한성부 우윤(漢城府 右尹)을 거쳐 동 좌윤(左尹)을 지냈다. 1506년(연산군 12년: 중종 원년)에 박원종(朴元宗)등과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에 올라 이성군(利城君)에 봉해지고 발탁되어 대사헌(?司憲)‚ 예조판서‚ 형조판서(刑曹判書)‚ 도총관 등을 역임하여 기성군(岐城君)으로 개봉되었다. 1519년(중종 14년)에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연좌되어 유배당했다. 명종(明宗) 때 신원(伸寃)되어 복작(復爵)되고 졸 후 문효(文孝)라 시호하였다. 선생은 어릴 때부터 소학(小學)으로 수신하였고 성장함에 따라 성리학(?理學)으로 그 직분을 다하였을 뿐 아니라 부모님을 모시기에 효성을 다하여 사람들이 출천지 효자라 하였으며 내외다난한 정세에도 전후 6년동안의 시묘에 하늘이 감동하였음인지 호랑이가 선생을 보호하였다 한다. 또한 선생의 증손인 반효홍(潘孝泓)선생은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현손 반국해(?孫 潘國涇)선생은 임진왜란 때 이충무공(李忠武公)을 따라 참전 전공을 세워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오르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이 되었다. 또한 현손인 오봉 반중경(五峰 潘仲慶)선생은 임진왜란에 이충무공을 따라 출전하였다가 전사했다.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오르고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 한국인의 족보‚ 인명대사전‚ 도주지‚ 청도문헌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