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손중돈

추천0 조회수 143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손중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손중돈 활동시기 : 미상 상세설명 밝은 세상에는 충직한 신하도‚ 깨끗한 선비도 많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어려운 세상에서 사리사욕을 멀리하고 오로지 나라를 위하고 백성을 어루만지는데 전심전력하는 관리는 드물다. 이러한 귀한 관리를 청백리라 하여 옛부터 우러러왔다. 그러한 청백리 가운데서도 청백리라고 할 수 있는 분이 손중돈(孫仲暾)이며 자(字)는 태발(泰發) 호는 우재(愚齊)이고 본관은 월성(月城)이다. 정충출기적개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에 오르고 계천군(鷄川君)에 책봉된 소(昭)의 아들이며 부자 양대에 걸쳐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며 관직에 나아가서는 청백리로서 백성의 추앙을 받고 학문에 있어서는 선철(先哲)을 이어 후학을 열었으니 이보다 더한 공이 있겠는가? 우재는 어려서 선대와 교분이 두터웠던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 학문이 깊었으며 27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높은 벼슬에 올랐다. 연산군이 왕위에 있을 때 늙은 부모가 있다고 해서 고향에 가까운 양산군(梁山郡)의 군수가 되었다. 백성을 다스리는데 정성을 다했으며 어질고 청렴한 인덕으로 인해서 온 고을이 태평성대를 노래하기에 이르렀다. 이와같은 선정이 조정에까지 알려져서 다시 경직(京職)으로 들어오게 되어 여러 요직을 거쳤다. 그러나 연산군의 폭정이 날로 심해져서 바른말 하는 신하를 죄주는 세상이 되자 우재도 한때 영어의 몸이 되었다가 끝내는 파직을 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어떠한 협박에도 절개를 지키고 정도(正道)를 걸어서 추호도 어긋남이 없었다. 중종이 연산군을 밀어내고 들어와서 바른 정치를 하고져 인재를 구할 때 우재는 다시 조정의 부름을 받아 상주목사(尙州牧使)가 되었다. 어지러운 세상이 오래 계속되었던 까닭에 나쁜 관리가 많았고 백성들의 피로는 극심했다.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많은 가운데서도 오로지 부모의 마음으로 백성을 어루만지고 백성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여겼던 까닭에 수탈에 시달려 먹고 살기도 어려웠던 백성들은 다시 삶의 기쁨을 누리게 되었다. 상주의 고을에는 격양가(擊壤歌)소리가 높아지고 오곡은 들에 가득했다. 상주 사람들은 이 목민관의 은덕을 잊을 수가 없어서 생사당(生祠堂)을 단밀현(円密縣)에 세워 초상을 모시고 춘추에 제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고 한다. 상주목사로 나온지 4년에 그 훌륭한 치적이 조정에 알려져서 특별히 승지(承旨)에 제수되었고 이어서 공조(工曹)와 예조(禮曹)의 참판(參判)을 거쳐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함경도 4도의 관찰사(觀察使)를 역임했다. 직접 백성들을 다스리는 외직에 나갈 때마다 백성들은 부모와 같이 우러러 모시고 기뻐하였는데 너무나도 청렴하고 추호도 백성의 재물을 다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함경도 관찰사로 있을 때의 일인데‚ 어느 개울에 다리를 놓아야겠는데 백성은 너무나 가난하고 국고도 여유가 없어서 불편했지만 어찌 할 수가 없었다. 관찰사는 몇 년동안 자기 녹봉(祿俸)을 털어 다리를 놓았는데 백성들이 너무나 기뻐하고 고마워해서 다리를 만세교(萬歲橋)라고 이름짓고 옆에 비를 세워서 오래 오래 그 덕을 사모하도록 했다고 한다. 관찰사를 거친후에 다시 경직으로 나아가 공조판서(工曹判書)에서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는데 인사를 처리함에 공평무사해서 온 조정 백관들이 불평함이 없었다. 네 번이나 대사헌(?司憲)이 되어 부정을 도려내는데 힘을 다하니 그 덕으로 온 조정이 공평해졌다고 한다. 벼슬을 다시 좌우참찬(左右參贊) 세자빈객(世子賓客)을 지냈고 다시 봉군의 영예를 입어 경주시에 책봉되었다. 67세로 세상을 떠나니 시호는 경절(景節)이고 동강서원(東江書院)에 모시게 되었다. 벼슬은 온갖 요직을 다했고 영예는 봉군하기에 이르렀지만 검소하고 절약하는 가운데 그야말로 안씨의 빈(顔氏之貧)을 즐겨 비가 새는 집에서 떨어진 자리에서 거처하면서 오로지 나라와 백성만을 걱정한 우재 손중돈은 참으로 청백리중의 청백리며 만고의 귀감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