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신효랑

추천0 조회수 7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효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신효랑 활동시기 : 조선시대 상세설명 신효랑의 본관은 영해 신씨요‚ 아버지 신두병고 어머니 김씨 사이에서 1668년‚ 이조제 16대왕 현종 9년 무신년 11월 18일에 야성현 덕천리 현 영덕읍 덕곡동에서 아들은 없고 딸 3형제 중 맏딸로 태어났다. 신두병의 처 김씨는 남편과 딸 3형제를 뒤로 두고 1686년 숙종 12년에 병으로 작고하여 온 가족이 슬퍼하며‚ 동생들을 보살펴 내조의 역할을 다하는 가운데도 너무나 아버지를 받들어 모시는 효성이 지극하여 인근 부락에까지 그의 효성을 찬양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효랑 낭자는 어릴 적부터 용모가 단정하고‚ 모든 일을 행함에 있어 소견이 넓어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하게 하였다. 어머니 김씨의 삼년상을 치룬 그 다음해 1689년 숙조왕 15년 기사년 이른봄부터 영덕군 달산면 산골에는 금은광을 경영하는 광부들이 몰려와서 광산을 개발하고 이 산 저 산 할 것 없이 금과 은을 채굴하기 시작하였다. 그 중에서 일파는 은맥이 뛰어나게 매장되어 있는 곳으로 판단하고 은맥을 따라 채취하는 산이 바로 낭자의 아버지 신두병의 문족이 선조 누대를 두고 모시고 있는 문중 산소이며 윗대 조상을 여러분 모신 분묘지임에도 불구하고 무모하게도 묘 밑을 파고 해침으로 자염 묘는 무너지고 관이 노출되고 백골이 출토되었던 것이다. 온 집안이 벌컥 뒤집히고 채굴하는 광주와 시비의 논쟁이 벌어지고 한편으론 야성현령에 사실을 고하는 소송장을 내고 채광자를 엄벌에 처하고 채광을 중단시키며 원상태로 마무리지어 줄 것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야성고을 원님인 이지걸은 오히려 냉담하였고 채광인을 두둔하고 금은광 채굴허가를 발급하였다는 관명이라 하여 일축되고 말았다. 채광인들은 여전히 발굴사업에 혈안이 되어 묘소앞에 있는 지원혈을 해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수많은 금은을 뇌물로 관아에 바친다는 소문이 자자하였다. 이렇게 되고보니 야성 현령 이지걸의 귀에도 자연 들리게 되고 이와 같은 사실이 세간에 폭로되었으니 현령 이지걸은 당황하였다. 만일 이러한 사실이 상관에게 고하여 알리게 된다면 속절없이 관직이 박탈되고 엄중한 처벌을 받을 것이니 이러한 일들이 확산되기 전에 먼저 손을 써서 자기 안전의 묘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신두병의 일족에게 허위사실 날조와 고을 원님을 욕보이게 한 죄목으로 허무맹랑한 죄목을 뒤집어 씌우고는 신두병 대소가 삼사촌 일족 10여명을 체포하여 관영에 수감하여 가혹한 고문과 혹독한 행위를 거듭하였다. 이와 같은 참혹한 형벌을 당한 낭자 효랑은 억울한 죽음을 당한 아버지와일가 어른들의 원수를 갚기 위해영해부사와 청송부사 영양헌감 등에게 진정서를 제출하고 이혹독한 영덕 골 현령 이지걸을 낱낱이 조사하여 그를 엄중처단 하여줄 것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방관헌은 낭자의 호소를 중하게 취급하지 아니하고 도외시하므로 낭자효랑은 다시금 경영감영을 찾아가서 영문앞 뜰 아래 엎드려 대성통곡하고 관원에게 처음부터 끝까지를 상세히 고하고 아버지와 그의 일족의 원수를 갚게 하여 줄 것을 애원하였다. 그러나 경상도 관찰사 역시 엄밀한 조사를 하지 않아 낭자 효랑은 그해 11월에 영덕을 떠나 서울에 올라가서 사헌부에 호소하게 되었다. 사헌부에서는 낭자 효랑이가 상소한 것을 소상히 임금님께 올렸으니 임금님께서 크게 노하시고 즉시 시각을 다투어 영덕 현령 이지걸을 체포하여 감금하고 엄중히 다스려 처벌하라는 어명이 내리었다. 이와 같이 낭자 신효랑이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한 송사는 1689년에서 1691년까지 3년간에 걸친 대 사건이다. 그후 1691년 임금님의 윤허로서 신효랑의 비석과 효녀정각을 세우게 하여 영세토록 효녀를 상징하는 표적을 이루게 되었으나 수 백년이 지나간 오늘에 와서는 그 당시 야성헌 덕천리에 낭자 신효랑의 정각과 홍살문의 단청도 아름답게 세워져 있는 모습이 보이지 않으므로 이 사기를 아는 이로 하여금 무척 안타까이 여길 뿐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