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이준경

추천0 조회수 8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준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이준경 호 : 원길/동고 활동시기 : 조선시대 본 관 : 광주 출생시기 : 1499년(연산군 5년) 상세설명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원길(原吉)‚ 호는 동고(東皐)이며 부수찬(副修撰) 수정(守貞)의 아들로 1499년(연산군 5년)에 태어난 조선조 선조때 영의정으로 충정(忠正)의 시호(諡號)를 받았다. 1504년(연산군 10년) 갑자사화 때 아버지‚ 할아버지가 함께 화를 당하는 슬픔을 겪었으나‚ 어려서부터 열심히 공부하여 1522년(중종 17년)에 생원에 올라 1531년(종종 26년) 문과에 급제하여 옥당(?堂)에 입선되어 이조정랑 응교(應敎)를 역임하고 직제학(直提學)에 올랐다. 1543년(중종 38년)에 다시 정시(庭試)에 장원을 차지하여 우윤(右尹)에 이르렀으나 김안로(金安老)등 3명의 간사한 신하에게 화를 입기도 하여 그들이 처형된 후 다시 기용되었다. 명종(明宗)때 이기(李 ) 임백령(林百齡)등의 시기를 받아 외직으로 황해도 관찰사가 되었다가 1548년(명종 3년)에 병조판서에 올랐으나‚ 1550년 드디어 보은(報?)으로 귀양을 가게 되어 이기가 대신을 그만 둔 후에 풀러났다. 1553년 왜구(倭寇)가 호남지방에 침입하여 그는 도순찰사(都巡察使)가 되어 이를 격퇴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뽑히게 되었고 1558년(명종 13년)에 우의정(右議政)이 되고 1565년(명종 20년)에 영의정(領議政)에 이르렀다. 1567년 명종이 임종할 때 밤중에 이준경을 침상에 불러 눈물을 흘리니 준경도 울면서 왕통을 이을 후계자를 정하기를 청해서 드디어 왕비에게 의논하여 당시 하성군(何城君)이던 선조(宣祖)를 맞아 왕으로 세웠다. 1568년 선조가 즉위하자 노대신들에게 궤장( 杖)을 주고 동시에 베풀던 궤장연( 杖宴)을 국비를 절약한다는 뜻에서 중지 시켰다. 선조에게 조광조(趙光祖)의 벼슬을 부활하고 포은 정몽주(鄭?周)의 후손을 등용하며 이기(李 ) 정언각(鄭彦慤)의 벼슬을 삭탈할 것을 주청하였고‚ 또한 재해 때에는 세공(稅貢)을 덜고 죄인에게 벌을 줄 때 공정히 다스리도록 할 것과 정공도감(正供都監)을 두어 대납(代納)의 농간을 없애는 것 등을 주청하자 선조는 모두 실시토록 명하였다. 명종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선조가 등극한 지 5년만인 1572년(선조 5년)까지 국정을 튼튼히 하고 영의정의 자리를 내놓아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겸 영경연사(領經筵事)로 나이가 많아 관직에 물러나 있다가 그 해 7월에 74세로 임종할 때 상소를 올려 가까운 장래에 당쟁(黨爭)이 있을 것을 예언하였는데 그 뒤 당쟁으로 나라가 쇠약하여 한일합방에까지 이르러니 세월이 흐를수록 철인의 지감을 알 수 있다. 그는 중종에서 선조까지 4대의 왕을 섬기면서 항상 청렴·검소하고 모든 일에 엄하고 근엄하게 대처하였으며 모든 신하들이 화목하게 국정을 성실하게 수행할 것을 주창(主唱)하는 한편 북쪽으로 야인과 남쪽의 왜구를 평정한 공이라던가‚ 변방 수호책을 세운 것등을 볼 때 특이한 식견을 가졌다. 그는 어려서 황효헌(黃孝-)에게 배우고‚ 자라나서는 종형인 이연경(李延慶)에게 성리학(?理學)을 배웠다. 또 전설에 의하면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의 글 읽는 소리를 듣고 장차 크게 이름을 떨친다고 하였고 이원익이 병으로 신음할 때 선조께 진언하여 산삼 세 근을 하사토록 하여 구원하였다는 말도 있으며 임란을 예측하여 자손의 피난을 위하여 지금은 충북 땅인 문경의 농암면 삼송리에 집어 지어 피난하고 영주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