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이홍우

추천0 조회수 130 다운로드 수 6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홍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이홍우 호 : 계용/모재 활동시기 : 조선시대 상세설명 광산인(光山人) 근생(根生)의 현손(?孫)으로 자(字)는 계용(季容)이고 호는 모재(茅齋)이다. 일찍 학문에 열중하였으며 숨은 선비로 조정에서 진천(鎭川)현감으로 천거되었으나 벼슬을 마다하고 나가지 않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倡義)하여 여러번 공훈을 세웠으며 (산서지[山西誌]에 기재됨) 당시 공의 딸(?)은 19세의 처녀로 피난중 왜적을 만나 왜적이 그의 손을 잡으니 더럽혀졌다는 이유로 칼로 스스로 손목을 자르니 왜적이 크게 놀라 달아 났으나 그는 끝내 운명하고 말았다. 주쉬목사(州 牧使) 윤형각(尹衡覺)이 제 지내어 말하되 [수사항절(守死沆節)로 유분미민(遺芬未泯)하고 정덕가상(貞德可尙)함은 경전서기래(敬?庶幾來)]라 했다 한다. 묘는 성산면 삼대동(三??)에 있고 미수(眉 ) 허목(許穆)이 비문을 짓고 판서 이원정(李元楨)이 행장을 지었다. 숙종 4년에 공의 백중씨(伯仲氏)와 더불어 회연서원(檜?書院)에 입향(入享)하게 되었고 본군 봉양사(鳳陽祠)에서 뫼신다. 공이 지은 문집이 있으며 공의 따님의 묘는 성산면 관 제동(薺?)에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