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정만양‚정규양

추천0 조회수 65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만양‚정규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정만양‚정규양 호 : 훈수‚지수 활동시기 : 조선시대 상세설명 양수(훈수‚ 지수를 일컬음)선생은 어릴적부터 남다른 데가 많았고‚ 남을 조롱하는 일이라고는 없었다. 그래서 모두들 덕기(德器)있는 아이로 칭찬 받더니 훈수선생 12살‚ 지수선생 7살 때 종조부인 학암(鶴巖)선생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했으나 한번 읽은 것은 잊지 않았다. 1701년 지수선생이 먼저 화북면 횡계(橫溪)로 이사하고 5년 뒤에 훈수선생이 뒤따라 옮겨옴으로 삼형제가 한데서 학문연구에 힘쓰게 된다. 육유제(六有齊)와 태나무(자단치경:紫檀稚莖) 두 그루를 줌으로 태고와에 한 그루‚ 대전에 한 그루씩 심어 오늘날까지 자라고 있다. 나무 한 그루 돌 하나에도 양수선생의 의지가 담겨지고‚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다. '횡계 9곡(橫溪九谷)'이 그것이고‚ 시전(詩傳)에 나오는 '맏형은 흙으로 만든 나팔을 불고‚ 동생은 대나무로 만든 피리를 분다'(伯氏吹塤 仲氏吹 )에서 나온 '훈지'로 형제간의 우애의 뜻을 표상한 것이고 이런 연유로 많은 저술도 '훈지록(塤 錄)'이라 했고‚ 자손의 이름도 '훈지' 두 글자의 변과 머리를 따서 짓도록 유명(遺命)하여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다. 이것을 봐도 양수선생의 굳은 의지를 엿볼수 있다. 한 집의 흥망성쇠는 형제 남매의 우애로써 이룩되고‚ 국가발전의 열쇠는 훌륭한 인재와 국민의 단합에 달려있는 것이다. 양수선생은 나라의 기둥을 길러 내기위해 1716년 봄에는 옥간정(?磵亭)을‚ 가을에는 진수제(進修齊)(지금은 없어졌다)를 횡계동에 짓고 1720년 2월부터 삭강(朔講)을 시작하니 향내의 제자가 100여 명에 이르고 그 제자 중에서 뒤에 영달된 분으로 매산 정중기(梅山鄭重器:참의) 풍원 부원군 조현명( 原府院君 趙顯命:영의정)‚ 명고 정간(鳴皐鄭幹:승지)‚ 이유(李瑜:판서)‚ 신준(申濬:참판) 등 수많은 명현을 길러 냈다. 훌륭한 스승에 현명한 제자‚ 아름다운 산수가 한데 어울려 자그마한 산골 횡계 마을은 교육의 전당으로 전국에 알리게 되었다. 1724년엔 훈수선생에게 참봉 벼슬을 뒤에 또 익위사세마(翊衛司?馬)등의 벼슬에 나가도록 나라에서 불렀으나 오직 학문연구와 저술‚ 제자 육성에 전력했으나 1728년 무신역변때는 분연히 3형제가 의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1730년 훈수선생이 67세로 옥간정에서 돌아가시다. 임종때 유언으로 자손에게는 '충‚ 효‚ 검‚ 공(忠孝儉?)'의 제 글자였다. 1732년 지수선생이 66세로 돌아가시고 생전의 양수 선생이 저술한 '훈지록(塤 錄)' '곤지록(困知錄‚ 내외편)' '이기집설(理氣集設 및 附錄)'‚ 가례차의(家禮箚疑)‚ 개장비요(改葬備要)‚ 대학보유(?學補遺)‚ 상지록(尙志錄)‚ 모현록(慕賢錄)‚ 심경질의보유(心經質疑補遺)‚ 계몽해의(啓蒙解疑)‚ 치도의설(治道疑說 3편)‚ 의례변고(疑禮便考 혹 通考)‚ 외국지(?國誌 40여편)‚ 산거일기(山居日記) 등 10여종 백여권에 달한다고 한다. 이렇게 학문연구와 방대한 저술을 할수 있었던 것은 형제가 힘을 합하여 정진했기 때문이며 또한 집안 살림살이를 동생인 오졸재선생이 맡아 준 우애있는 집안이기 때문이었다. 양수선생은 오로지 제자와 향내를 계도하기 위해 살아왔고 많은 제자와 방대한 저서‚ 그리고 "충효검공‚ 지려명절"의 8자는 우리가 명심할 옛 선비의 기상이고 명언이 아니겠느냐? 참고문헌 : 영양지‚ 영남인물고‚ 훈지양선생문집부록‚ 동문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