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최원도

추천0 조회수 155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최원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최원도 호 : 백상/천곡 활동시기 : 고려시대 상세설명 선생의 이름은 최원도(崔元道)‚ 자(字)는 백상(伯常)‚ 호(號)는 천곡(泉谷)‚ 관(貫)은 영천(永川)이다. 정헌대부 판전의시사(正憲??判典醫侍事)를 지낸 유진(有?)의 아들로 태어났다. 선생은 천성이 기개가 있고 뜻이 커서 남에게 구속받지 않았으며 일찍이 목은 이색선생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아 문학과 글씨에 능숙했으며 생원시험에 합격하였는데 태학관 선비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고려 공민왕조에 대사간(?司諫)벼슬을 지냈으나 기울어져가는 고려조를 것 잡을 수 없어 뜻을 품고 고향으로 돌아와 오직 효우(孝友)의 마음으로 집을 다스리며 지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군 남쪽 나현(羅峴)(琅‚ 영천군 북안면 도유동)에 묘지를 잡아 장사를 지내고 묘지옆에다 집을 짓고 3년간을 살면서 산을 개간하여 밭을 일구어 묘사를 지낼 수 있는 전지를 마련하였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국이 건국되자 구룡산(九龍山) 밑 천곡(泉谷)동에 숨어 살면서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 뜻을 품고 운곡 원천석‚ 음촌 김약시‚ 석탄 이양중‚ 관가 정최청‚ 복액 범세동 등 수십명의 동지들과 함께 봄과 가을에는 강원도 원주 치악산의 가장 높은 바위에 단(壇)을 모아 단군과 기자(箕子)‚ 고려왕건 태조‚ 공민왕을 받드러 제사를 지내고 그분들을 추모하였다. 여기 신의를 생명처럼 생각한 일화가 남았으니 둔촌 이집(遁村李集)선생과는 일찍부터 뜻을 같이 하면서 서로 믿고 사귀었다. 1368년(공민왕 17년)에 둔촌 이선생은 송도(개성) 용수산(龍首山) 밑에 살았는데 중 신돈의 문객(門客)인 채(蔡)판서와 한 마을에 살았다. 둔촌은 신돈이 말못할 행패를 부리는 것을 보고 격분하여 그의 죄상을 여러 사람에게 알려 처벌하려고 모의(謀議)를 하였는데 그 사실을 채판서가 은밀히 탐지하여 신돈에게 밀고를 해 버렸다. 그때 국권을 장악한 신돈은 둔촌을 죽이려 하였다. 둔촌은 남몰래 늙은 아버지를 업고 추풍령을 넘어 남쪽으로 내려와 선생의 집을 찾아 살길을 구하였다. 그날 때마침 선생은 향리 사람들과 술을 마시며 시를 짓고 놀고 있을 때다. 둔촌은 아버지를 업고 밖에 있는 사랑 채에서 쉬고 있는지라‚ 선생은 깜짝 놀라면서 무척 성을 내며 그곳으로 달려가 둔촌 부자를 쫓아내고 그집을 불질러 버렸다. 둔촌은 선생의 깊은 뜻을 짐작하고 밖으로 나가 5리(2km)쯤 떨어진 곳으로 물러가 남의 눈을 피하면서 밤을 기다렸다. 선생은 밤이 깊자 지팡이를 짚고 마을 밖으로 둔촌을 찾았다. 드디어 둔촌 부자를 부축하고 집으로 돌아와서 낮에는 다락에 숨겨주고 밤에는 방에 들어 잠자리를 같이하고 항상 한 그릇의 밥을 나누어 먹어가면서 집안 사람들 한사람도 사실을 알지 못하고 지나는데 신돈은 영천 포졸에게 둔촌을 잡으라는 명을 내렸다. 일이 무척 위급하게 되었는데 향리의 사람들이 포졸에게 둔촌이 찾아온 그날 사정을 자세히 말하니 포졸들도 믿고 돌아가 버렸다. 그후 오래토록 아무도 모르게 지냈는데 하루는 부엌일을 맡아보는 여자종이 가만히 엿보고 사실을 알게 되었다. 선생은 한탄하며 종을 꾸짖었다. 딱한 사실을 안 여종은 누설하지 않음을 스스로 목숨을 끊어 증명하니 이 또한 보통 일은 아니라 하겠다. 그러던 중 3년이란 기 세월이 흘러 둔촌의 아버지가 벽장에서 세상을 떠났다. 선생은 자기 옷을 입히고 염습을 하여 밤중에 나현의 모친 산소 밑에 장사를 치루었다. 둔촌 후손들이 산 밑에 보은당(報?堂)이란 집을 지어 놓고 세세 연년 모사때는 여러 자손들이 선생의 은혜를 추모해 왔는데 오랜 세월이 흐름에 집은 허물어지고 지금은 터만이 남아 있다. 최씨와 이씨의 두 집에서 의리로 죽은 노비를 잊지 않기 위해 술과 밥을 지어 놓고 제사를 지내는데 지금도 그 단을 유지하며 제사가 계속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