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최응사

추천0 조회수 9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최응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최응사 호 : 효원/유정 활동시기 : 조선시대 출생시기 : 1520년(조선 중종 15년) 상세설명 선생의 자는 효원(孝源)‚ 이씨 1520년(조선 중종 15년) 5월에 영천군 북쪽 명산(鳴山) 대전 이수리(?田二水里:현 대전동에서 태어나니 생원(生員) 최호(崔?)의 아들이요 도총부 도총제(都摠府都摠制) 최용화(崔龍和)의 오세손(五世孫)이다. 공이 네 살 때 산본리(山本里:지금의 청통면 쌍계동)로 이사하였는데 어릴 때부터 성질이 침착하고 말이 적으며 글을 배움에는 먼저 뜻을 깊이 생각하여 이해한 다음에 꼭 외웠다. 점점 성숙하매 육경(六經)과 사서(四書)를 깊이 연구하고 좋은 행실을 닦아 학문 뿐 아니라 절개와 지조를 곧게 가져 세상의 풍교(風敎)가 소퇴해감을 크게 개탄하고 옛 선현(先賢)들의 절의(節義)를 사모하였다. 즉 대전(?田) 이보흠(李甫欽)과 박사(博士) 손서륜(孫敍倫) 같은 분이 순흥(順興)에서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금성대군(錦城?君)과 같이 꾀하다가 참혹하게 죽고 가족까지 몰살된 사실을 공은 그분들의 외손으로서 익히 전해 들은 바가 있어 울분이 가슴에 맺혀 왕왕(往往) 여러 동지(同志)들과 같이 산과 들을 유람하면서 시가(詩歌)로 그 마음을 토로하곤 했다. 그 일상 생활에 있어서는 마음을 오직 '공경한다'는 한가지에만 쏟아서 총효(忠孝) 시례(試禮)를 모든 행동의 근본으로 삼았으며 아들과 손자를 가르치는데도 그 범주가 여기에 넘지 않았다. 임진왜란이 터지자 공은 한 때 가족을 이끌고 은해사(銀涇寺)‚ 백지사(栢旨寺)‚ 상용암(上聳庵)을 거쳐서 팔공산에서 초목으로 움막을 지어가며 피난을 했다. 적병이 은해사 백지사등을 불태우고 지나간 뒤에 낮에는 숲에 숨고 밤에는 절에 들고 해서 팔공산 일대가 피난민의 피난처가 되었다. 이에 공은 의분(義憤)을 참지 못하여 소모문(召募文)을 지어 의병(義兵)을 모았더니 삽시에 수백명의 승속(僧俗) 반반의 의병을 얻게 되었다. 그때 공의 나이 73세였다. 이 때 이득룡(李得龍)‚ 이지암(李之 )‚ 이영근(李榮根)‚ 이정분(李廷芬) 등 경주 계연(鷄?) 싸움에서 전사한 세칭(世稱) 17의사 몇몇분도 끼어 있었다. 공은 늙은 몸이라 직접 의진에 참가 하지 못하고 의병들의 추대(推戴)로 중위장(中衛將)이 된 셋째 아들 벽남(擘南)에게 맡겼다. 의병들은 말을 잡아 피를 마시며 나라를 위하여 죽기로 맹세하였다. 공이 임진왜란 때 의병을 팔공산에서 모을 대 소모문(召募文)은 다음과 같다. 석자의 칼과 두 말의 피로 우리가 공산(公山)에서 맹세를 하니 의기(義氣)는 고동(鼓動)쳐서 당당도 하도다! 이야 말로 충의의 나라요‚ 또한 인물의 고장이네! 군부(君父:임금)가 망극(罔極)하매 물 불을 가릴소냐? 원수를 용서 할소냐? 춘추의 의리가 여기 있도다! 삼도(三都)가 무너지니 임금님이 피난가네! 두 능(陵:임금의 무덤)이 불타니 만세(萬世)의 수치로다. 눈물로 애통한 밀지(密旨)를 받들매 초야에 묻힌 동지들이 분격(憤激)을 하는도다. 가국(家國:집과 나라)은 한가지라 구사(九死:아홉번 죽음) 또한 마땅하다 고을 사람이 다 일어나니 팔도라도 보전하리! 지하의 굳센 넋이 될지언정 오늘의 달아나 숨는 쥐 되지 말라! 선왕(先?)을 받들고 선왕을 본받은 작록(爵祿:벼슬과 녹봉)의 옛집이여! 이 땅에서 살고 이 땅에서 잠잠은 승속(僧俗:중과 속인)이 다 같으니 한집으로 뭉쳐서 천리(千里)라도 싸워 보세! 호령은 반드시 엄격하리니 군사들은 죽기를 맹세하라! 달아나면 목벨 것이요‚ 어기면 벌 줄 것이라‚ 건전한 사람은 군사(軍士)가 되고 훌륭한 장사(壯士)는 장수(將帥)가 된다. 적군의 칼날을 무릅쓰고 청구(靑邱:우리나라)의 동쪽 땅을 맨 먼저 회복해 보세! 산은 더욱 높고 물은 더욱 희네! 이 같은 맹세는 또 다시 없을지니 장사(壯士)들아 모두들 힘 쓰고 힘 쓸지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